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며
2. 저자의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춘향전 연구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허공을 향한 휘어진 화살: 이지영 교수의 「『춘향전, 역사학자의 토론과 해석』에 대한 서평」에 대한 반론
동아문화
2020 .12
식민사회의 ‘춘향전’과 전유되는 전통
현대소설연구
2021 .03
천태산인 김태준의 <춘향전> 연구 검토
인문학연구
2024 .08
춘향 - 생존전략의 선택인가, 인격의 수호인가?: 정해은 선생의 서평 「춘향은 여성인가, 민중인가?」에 대한 답변
동아문화
2020 .12
이광수의 <일설춘향전>에 대한 再考
한국현대문학연구
2016 .08
코미디에서 ‘춘향전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환에 대하여 -20세기 춘향전 이본의 구축-
열상고전연구
2023 .02
현대인의 거부감 완화를 위한 <춘향전> 다시 읽기 -인정투쟁과 돌봄윤리의 서사로-
인문학연구
2021 .08
영화 <춘향전>의 <춘향전> 수용 양상과 이본으로서의 특징 --임권택의 <춘향뎐>을 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2017 .10
충청 지역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
국학연구론총
2022 .12
일제 말기 이주홍의 만문만화 연구(2) - 『家庭の友』와 『半島の光』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2017 .01
문화횡단적 경합으로서의 『일설춘향전』 - <춘향전>의 번역과 개작을 둘러싼 문화횡단적 경합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2016 .01
전단지(리플릿)를 통해 본 사라진 〈춘향전〉 공연 기록 아카이브의 복원 -화봉문고 소장본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2024 .09
『조선창극집』 및 『조선민족음악전집(초고)』 수록작 비교로 본 1950년대 북한 창극 <춘향전>의 양상
동아시아고대학
2021 .12
영화 「춘향뎐」(임권택 감독, 2000년)의 서사 검토
인문논총
2024 .02
영남 지역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
국학연구론총
2020 .01
매체 전환에 따른 <춘향전>의 스토리 확산 연구
열상고전연구
2022 .06
고전서사 콘텐츠화의 한 사례 - <방자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리문학연구
2023 .04
1930년대 후반 근대극 「춘향전」의 인물 형상 연구
어문논집
2022 .04
칼라영화의 제작과 남북한의 <춘향전>
구보학보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