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고혁철 (인하대) 임종엽 (인하대)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42권 제1호(통권 제77집)
발행연도
2022.4
수록면
106 - 109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is a design experimental study on the ambiguity technique of boundaries for locational restoration. The process of forming and expanding modern cities was the process of finding utopies based on reason. However, the method of aiming for utopia failed by forming a void in the city, and modern cities need to use Terranbag by applying the concept of building a heterotopia space. Heterotopia space is due to the expansion and superposition of heterogeneous elements through ambiguous boundaries. Therefore, a framework for recognition of how architecture intervenes in the boundary for ambiguous boundaries is established and design experiments are conducted by applying it to the site of the northern station area of Seoul Station.

목차

Abstract
1. 서론
2. 문제제기
3. 헤테로토피아와 테란바그 이론을 통한 장소성 회복
4. 모호한 경계에 대한 해석과 디자인 제안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