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사회 과목 싫어요. 체육하고 미술 좋아해요.”
2. ‘초등학교 4∼6학년 여학생뿐이야!’
3. ‘어디로 튈지 모르겠어.’
4. ‘마음의 문을 열기 시작했던 크리스마스’
5. “엄∼청 심심해 죽∼을 것만 같았어요.”
6. 언어적 한계를 넘어 새로운 연결 가능한 관계를 희망하며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좌충우돌 융합연구의 현장 기록
문명과 경계
2018 .12
신화인류학자가 말하는 이야기의 힘 ② - K 작가님께-장미의 이름으로
계간 미스터리
2021 .12
소통
수필미학
2022 .06
신화인류학자가 말하는 이야기의 힘 ③ - 상상력은 무기력을 찍어 넘기는 도끼다
계간 미스터리
2022 .03
비인간 행위자와 인류학: 인류학자로서 브뤼노 라투르의 궤적
문명과 경계
2023 .03
신화인류학자가 말하는 이야기의 힘 ① - 철학이 언어로 된 수학이라면, 추리 소설은 문학으로 된 물리학이다
계간 미스터리
2021 .09
배경
푸른사상
2021 .09
[신화인류학자가 말하는 이야기의 힘] 인물 창조의 산고 Ⅳ - 부모 잃은 소년, 탐정이 되다
계간 미스터리
2023 .06
[신화인류학자가 말하는 이야기의 힘] 인물 창조의 산고 ③ - 《프랑켄슈타인》의 창, 거울, 그리고 문
계간 미스터리
2023 .03
[신화인류학자가 말하는 이야기의 힘 ④] 인물 창조의 산고Ⅰ-《모비 딕》, 무한의 위대함
계간 미스터리
2022 .06
자아의 탐색과 소통을 위해 : 프랑스 아동청소년문학
창비어린이
2016 .03
분단과 냉전, 국경을 넘는 인류학자의 상상력 : 『휴전선엔 철조망이 없다』 / 강주원 / 눌민 / 2022
황해문화
2022 .12
[심사평] 소통 부재 현실에 소통 실현 돋보여
시조시학
2025 .03
기독교 빈곤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복음과 실천
2015 .05
한 · 일 아동복지정책에 대한 국제비교적 고찰 : 일본 아동학대에 대한 지역사회 아동복지정책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8 .04
‘북한 인류학’의 가능성의 조건: 정병호, 2020, 『고난과 웃음의 나라: 문화인류학자의 북한 이야기』, 파주: 창비.
비교문화연구
2021 .06
소통을 위한 글쓰기
수필미학
2015 .12
비판으로서 에세이 : 소통불가능성의 소통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9 .08
경계의 언어화와 소통
비교문화연구
2016 .07
중국 현대 최초 백화문 아동잡지 『아동세계(兒童世界』소고 정전둬(鄭振鐸) 주편 시기를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