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준민 (울산대학교) 홍일태 (울산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31권 제6호(통권 제155호)
발행연도
2022.12
수록면
67 - 75 (9page)
DOI
10.14774/JKIID.2022.31.6.06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order to re-establish affordance theory in space and apply it to space design, the spatial composition method based on Legio Emilia’s educational theory concept was reinterpreted as affordance concept, and several ca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the spatial composition and interpretation. Previously, affordance in space was acted on or considered as a phenomenon in and out of space, such as furniture and decoration, but this study could confirm the possibility of a perceived affordance design by reconstructing a clear and specific process in constructing a space where perceived affordance and environment interact. By configuring various environments, a space with deeper human-centered interactions than the existing space is formed by causing collisions with users.

목차

Abstract
1. 서론
2. 어포던스와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이론
3. 연구대상 공간
4. 소결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