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지역 연계 창업공간 구성에 대한 요구분석을 통해 대학-지역 연계 차원의 협업적 창업공간(Co-Space) 구성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t검정(독립표본, 대응표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창업가 대상 FGI를 실시하여 다각도에서 대학-지역 연계 창업공간 구성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지역 연계 협업적 창업공간의 필요성 분석결과,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창업공간 개방의 필요성과 지역 내 창업공간 구축 필요성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성이 여성보다 지역 내 창업공간 개방 필요성을 높게 인식했다. 둘째, 대학-지역 연계 협업적 창업공간에 대한 요구도 분석결과, 대학-지역 연계 창업공간 구성에 대한 현재 중요도와 미래 필요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첨단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지역 연계 협업적 창업공간 구성방안 분석결과, 개방성과 폐쇄성을 고려한 창업공간 구성, 창업단계 및 분야를 고려한 창업공간 구성, 창업공간 규모에 따른 상이한 공간구성 요구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대학-지역 연계 차원의 협업적 창업공간 구성을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업적 창업공간은 대학과 연계하여 지역 내 창업기업의 발전단계 별 요구에 따른 공간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창업공간 규모와 운영방식을 고려한 맞춤형 협업적 창업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의 유휴공간에 체험 기반 지역주민 개방 공간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 창업투자사, 창업지원기관, 창업기업 간 유기적인 네트워크가 가능한 협업적 창업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과 지역의 연계를 통해서 지역 창업생태계 구성과 창업지속성 강화를 위한 협업적 창업공간 구성의 시사점을 제안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업기업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소인 창업공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흐름 속에서 지역 창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업적 창업공간 구성의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collaborative start-up space(Co-Space) configuration plan in terms of university-regional linkage through demand analysis on the composition of university-regional linkage startup spac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request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t-test, The Lotus for Focus model. In addition, FGI was implemented for entrepreneurs, and the direc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university-region Co-Space was derived from various asp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necessity of university-community Co-Space, the necessity of opening up the start-up space recognized by local residents and the necessity of building the start-up space in the region were high. In addition, men recognized the need to build a space for start-ups in the community more highly than women did women.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demands for university-regional Co-Space, the difference between current importance and future necessity of university-regional Co-Spa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composition of the startup space by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regions, different demands were made for composition of the startup space considering openness and closeness, and for composition of the startup space siz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Spaces need to be constructed in conjunction with universities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of start-up companies in the region by stage of develop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customized Co-Spac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ize and operation of the start-up space.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xperience-based open space for local residents in the remaining space of the univers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Space that enables an organic network between local communities, start-up investment companies, start-up support institutions, and start-up compan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the regional startup ecosystem and the cooperative start-up space structure for strengthening start-up sustainability through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for Co-Space construction to build a regional start-up ecosystem in a tre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tart-up space, which is a major factor affecting start-up compan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