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왕 소유 (성균관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동양예술 제56호
발행연도
2022.8
수록면
81 - 107 (2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유가의 학설은 송대 이후 성리학자들의 재해석을 거쳐 새로운 모습으로 많은 사회문화와 예술활동 속에 스며들었다. 성리학은 의리(義理)에 대해 상세한 해석을 중시하며, 간결하고 명확한 도덕 윤리와 사변(思辨)적인 특징으로 정치·사회·문학·예술 등의 분야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주희 미학 사상에서 리(理) 자체는 진(眞)·선(善)·미(美)가 하나로 어우러진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 속에는 선(善)을 전제로 하는 미(美)도 포함된다. 주희는 '리본론'(理本論) 사상의 영향 아래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서예관(書藝觀)을 구축하여 후세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주희의 서예이론은 ‘천하의 일을 자신의 임무로 삼는다(天下爲己任)’는 도덕적 자율을 갖춘 서예 이론이다. 주희의 서예는 그의 학문적 성취만큼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서예사(書藝史)에서도 분명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글의 질문은 주희의 서예관이 주로 어떤 이론에 근거하여 설명되는가 하는 데서 시작된다. 필자는 이 질문에 대해 주희의 서예관은 ?주로 그 리본론에 기초하여 설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는 理가 주희의 철학과 서예 미학의 최고 범주라고 볼 수 있고, 현존하는 주희의 문집에도 理로 서예와 문자를 논하는 문헌 자료가 많다는 점이다. 주희의 서예관도 주희의 학술사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성리학·경학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였다. 본 논문은 주희의 '리본론' 사상이 서예관에 미치는 영향을 접점으로 주희의 성리학과 서예미학의 적합성, 그리고 주희 철학 사상이 서예 품평(品評)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理를 궁극의 준칙으로 삼는 문예관이 서예의 예술적 가치를 드높인다는 점을 확인한다. 주희의 '리본론'은 후대의 문예미학사상의 발전, 특히 서예이론의 사상적 기초를 놓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문인사대부가 서예라는 예술적 실천을 통해 자기 수양과 도덕성 함양에 적극적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이 연구는 주희의 理 본체론 관점으로 서예관의 학술적 가치를 탐색하고, 그 이론의 가치와 사상적 특징을 발견할 수 하는 데 의의가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