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주여성의 취업지원정책 개선방안 연구 : 결혼이민여성과 북한이탈주민여성을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2017 .02
프랑스 이민자의 시간제 고용
지중해지역연구
2020 .01
이주민의 커뮤니케이션 권리와 역량강화 : 이주민 미디어와 이주민 미디어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15 .04
이민자 유형별 정착서비스 수요 및 생활만족도 분석 : 외국인근로자, 결혼이민자와 유학생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021 .12
참여의 제도화와 사회통합: 독일의 이민자 통합정책과 시사점
한국비교정부학보
2019 .01
결혼이민자를 위한 정책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비교정부학보
2020 .01
Social Integration of Foreign Immigrants in South Korean Local Communities
Pacific Focus
2024 .04
사회통합관점에서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방향: 델파이 조사를 통한 북한이탈주민 수요분석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2015 .12
사회통합을 위한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며 : 사회적 자본과 공동체 건설을 중심으로
국제학논총
2017 .06
여성 결혼이민자 한국사회 정착화 과정 연구 : 정착 지원서비스 수요와 공급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16 .09
1997-2013년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변동 분석 : 정책네트워크 모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16 .11
新住民在台灣社會面臨問題
동아시아와 시민
2023 .04
다문화시대의 결혼여성이민자 이중언어사용에 관한 연구
동북아 문화연구
2017 .03
다문화사회 통합주체로서의 결혼여성이민자 활용 가능성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16 .10
이주민의 정치적 권리에 관한 일 고찰 -지방자치선거와 이주민을 중심으로-
원광법학
2017 .01
적극적 사회통합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정책 전환 방안
국제정치연구
2023 .03
대구·경산지역의 이주민지원사업의 현황과 과제
다문화와 인간
2015 .06
Fragmented Ethnic Enclave and Declining Cohesion of Coethnic Return Migrants in South Korea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7 .12
언론에 나타난 이주민 이미지의 변화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016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