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화된 경찰 이미지와 여경 무용론에 대한 대안신 회 섭*ㆍ김 용 근**
요약: 2020년대 들어 계속 논란이 된 여경의 현장대응능력과 관련하여 남성성으로 젠더화된 경찰 이미지를 순화하는 것이 항구적인 대안이지만, 성별에 따른 직무분리 관행이 무용론 확산의 주된 원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논문은 영화와 온라인 등 문화공간에서 젠더 개념으로 이분화된 여경의 이미지를 고찰하여 혐오담론의 실체를 확인하고, 그 대응방안을 논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한국과 홍콩 영화에 나타난 젠더화된 경찰 이미지를 고찰하고, ‘대림동 주취폭력사건’에서 비롯된 여경 무용론 관련 담론을 소개한다. 그리고, 그것의 보완책으로 마련된 성별 통합 체력검증제도의 배경과 기대효과를 해외사례와 함께 설명한다. 그 결과, 여경의 현장대응역량을 실질적으로 정상화하기 위해서 능력과 인성을 우선한 직무연관성과 적합성을 채용과 관리평가의 주된 요소로 하되, 성별에 따른 차이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그 요소를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못한 점에 한계가 있지만, 국내에서 젠더화된 여경 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드물다는 점에서 경찰 내 젠더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비교행정학적 정책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핵심어: 여경, 젠더화된 경찰 이미지, 직무연관성, 직무적합성, 성별 통합 체력검증제도
□ 접수일: 2022년 3월 26일, 수정일: 2022년 4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동신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외래교수(First Author, Lecturer, Dongshin Univ., Email: shinhs7161@naver.com)** 교신저자,동신대학교 경찰행정학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ongshin Univ., Email: caronn@naver.com)
Gendered Image of the Police and the Solution ofthe Argument of Female Police Officers’ UselessnessHoeseop Shin & Yonggeun Kim
Abstract: Gender-based job separation practices are believed to be the main cause of the spread of uselessness in relation to the field response capabilities of female police officers, which have been controversial in the 2020s, although it is a permanent alternative to purify the gendered image of the police with masculinity. This paper examines the image of police officers divided into gender concepts in cultural spaces such as movies and online to confirm the substance of hate discourse and discuss countermeasures. To this end, first of all, the gendered female police image in Korean and Hong Kong films is reviewed, and the discourse on the argument of policewomen’s uselessness arising from the “Daerim-dong drunken violence incident” is introduced. In addition, the background and expected effects of the gender integrated physical fitness verification system prepared as a supplement to it will be explained with overseas cases. As a result, in order to substantially normalize the field response capabilities of female police officers, job relevance and suitability prioritizing ability and personality are the main factors in hiring and management evaluation, bu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should also be considered. This paper, even with little detailed explanation of the factors,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comparative administrative policy research to resolve gender conflicts within the police, given that research on the gendered female police image is rare in Korea.
Key Words: Female Police Officer, Gendered Image of the Police, Job Relevance, Job Suitability, Gender Integrated Physical Fitness Verif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