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변형우 (성균관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중국언어학회 중국언어연구 중국언어연구 제96호
발행연도
2021.10
수록면
411 - 432 (22page)
DOI
10.38068/KJCL.96.16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한국의 『論語』 번역서와 중국의 『論語』 번역서에 대한 해설을 비교해 보았으며, 비교 결과 각각 나름대로의 해석근거를 제시하고 있으나, 언어학적 분석이 부족하다. 본고에서 나름대로 언어학적 분석을 위한 규칙을 찾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父母唯其疾之憂.’는 크게 두 가지 설로 압축된다. 즉, ‘其’의 지칭대상이 부모인지 혹은 자식인지 여부이다. 나머지 설은 파생적인 주관적인 해석으로 판단된다. (2)인용문에서 단문 안에 대상이 있을 경우 ‘其’는 단문 안의 대상을 지칭하는 단문지칭의 규칙성에 근거하면, ‘其’는 父母를 지칭한다. (3)동사‘憂’의 주체는 父母가 아닌 생략된 ‘자식’이다. 그 이유는 ‘父母唯其疾之憂.’의 문장이 수사주어문이 아닌 화제주어문에 속하며, ‘孝’와 관련된 문장에서 父母가 나오는 경우 일반적으로 ‘자식’은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政篇에서 ‘父母唯其疾之憂.’의 문장과 함께 앞장과 뒷장의 문장(5,6,7,8장)은 각각 ‘孝’에 대해 묻는 내용이며, 孔子는 각각 다른 대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因材施敎’에 해당되며 각각의 인물에 따라 그 인물에 맞는 가르침에 해당하는 답을 주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