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은아 (공주대학교) 김규호 (공주대학교)
저널정보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문화 백제문화 제65호
발행연도
2021.8
수록면
5 - 22 (1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백제 중앙지역의 고대유리 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 유적중에 하나인 석촌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리 제품은 완형 구슬 35점, 형태를 알 수 없는 반제품 44점 그리고 판상형 17점이다. 이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완 형 유리구슬 35점에 대하여 비파괴분석법을 활용하여 외형적 특성과 화학 조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색 상은 일부 감청색과 함께 벽색과 녹색이 주류이다. 형태는 둥근형 2점, 코일형 1점, 도넛형 32점으로 외경과 직경 비율이 같은 둥근형은 금박구슬인 중층구슬이고 외경보다 직경이 긴 코일형은 1점으로 지표에서 수습된 벽색 구슬이다. 이에 비하여 주류인 도넛형은 대부분 외경이 5mm 미만의 소형으로 늘린기법으로 제작되었다. 구슬 단면의 열처리는 색상과 밀접한 관계를 보인는데, 감청색과 적갈색은 열처리 I형이고 벽색, 녹청색, 녹 색, 금박구슬 등 대부분은 III형으로 나타난다. 화학 조성은 융제 구분에서 납유리군 1점, 포타쉬유리군 3점, 소다유리군 28점 그리고 미분류 3점으로 소다유리군이 우세한 편이다. 안정제 구분에서 납유리군으로 확인된 벽색 코일유리 1점은 고알루미나계, 포타쉬유리군으로 확인되는 감청색 도넛형 구슬 3점은 산화칼슘(CaO) 과 산화알루미나(Al2O3)이 모두 5% 미만이다. 금박구슬 1점(sc-003)과 적갈색 1점(sc-009)을 제외한 소다유리군은 26점은 모두 고알루미나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다양한 색상의 유리구슬이 출토되는 백제에서 주로확인되는 조성으로 청색계가 많이 확인되는 신라·가야와 화학 조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