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Introducti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Existing Research
Social Distance Felt by South Koreans toward Immigrant Groups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近代朝鲜移民对中国东北地区水田农业发展的影响(1875~1945)
HOMO MIGRANS
2017 .11
Perceptions of Korean Chinese by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재외한인연구
2018 .02
揚州藏經院 각판과 한국인 저술판에 관한 연구
중국어문학
2019 .01
코로나·팬데믹과 재일외국인의 사회적 영 : 재일동포사회를 중심으로
재외한인연구
2021 .10
A Sociolinguistic Study on Korean Names of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언어학 연구
2022 .10
이민자를 위한 레시피— 음식을 통한 이민과 동화의 역사 —
사림
2023 .01
사회 주류가치관과의 불일치가 이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세계가치관 조사의 22개국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2020 .01
국내 이주자 선교의 과제와 방향
선교와 신학
2017 .06
Culture, Race, and Perceived Mobility among Adult Children of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Korea Journal
2019 .03
결혼이주여성의 경제활동을 통한 정체성형성- 대전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직업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담론201
2016 .01
다문화 선교를 위한 “ 이주민” 의성경적 이해와 선교적 적용
개혁논총
2018 .01
EU 이민자 통합과 초국적 주거공간-이탈리아 이민자의 초국적 주거공간 형성 고찰 중심으로
이탈리아어문학
2015 .01
사료로 본 3명의 고구려 여성 이민 사적에 관한 고찰
영남학
2022 .06
Social Relationships for Youth and Adolescents within the Korean American Immigrant Church
기독교교육 논총
2015 .01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의 초기 결혼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경기도 남부지역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2018 .01
외국인 및 이주민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다문화와 평화
2016 .12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법 연구
언어와 문화
2016 .01
Korean Diaspora and Ethnic Language in Multi - cultural Societies
현대영어영문학
2016 .01
Fragmented Ethnic Enclave and Declining Cohesion of Ethnic Return Migrants in South Korea
Korea Journal
2022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