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미선 (청주대학교)
저널정보
한국한문학회 한국한문학연구 한국한문학연구 제63호
발행연도
2016.9
수록면
7 - 37 (3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는 「韓國 禪詩의 歷史的 背景과 美意識」의 고찰이다. 한국 선시의 역사적 배경과 미의식을 통시적 측면에서 바라보고자 하였다. 한국 선시 미학의 특징을 밝혀내는데 있어 禪僧, 居士의 내용을 포함하여 연구의 범위로 하였다. 선행 작업으로 韓國 禪 詩의 歷史的 背景에서 禪僧과 居士의 兩面을 들어 한국선시 미의식의 형성배경을 불교사와 문학사 측면에서 섭렵하고자 하였다. 중국 禪偈의 형성 배경은 初祖達摩의 安心禪法→ 二祖慧可의 懺悔禪法→ 三祖僧 璨의 信心禪法→ 四祖道信의 看心禪法→ 五祖紅忍의 守心禪法→ 六祖慧能의 頓悟 禪法으로 이어져 이후 古靈神贊으로 이어졌으며, 이러한 중국 선종의 發達史와 함께하는 禪詩를 石屋淸珙이 우리나라 高麗 白雲景閑에게 傳法하였음을 고찰하였다. 거사 선시의 형성배경은 摩詰을 자처한 왕유가 당나라 居士 禪詩의 선구자였으며, 왕유의 禪趣的 삶은 以禪爲詩로 이후 香山居士 白居易에게로 거사 선시의 맥이 이어져, 宋代 거사선시에 이르러서는 六一居士 歐陽修, 後山居士 陳師道, 東坡居士 蘇軾 에게 수용되어져 풍부한 작품을 형성하였음을 밝혔다. 이에 한국 불교사 속 선승의 선시 내용이 高麗의 眞覺慧諶, 白雲景閑, 朝鮮時代의 靑梅印悟, 震?一玉 선사의 선시에서 悟道의 美學으로 드러났으며, 한국문학사에서 거사의 선시 내용은 白雲居士 李 奎報, 牧隱 李穡, 梅月堂 金時習의 작품에서 禪趣의 美意識이 그 특징으로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지면상 다루지 못한 많은 작품은 후고의 과제이며, 불교 선시연구에 대한 많은 관심을 기대한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