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현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강용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진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저널정보
한국풍력에너지학회 풍력에너지저널 풍력에너지저널 제7권 제2호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45 - 51 (7page)
DOI
10.33519/kwea.2016.7.2.006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Wind resource potential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an area where a wind farm can be developed by wind turbine capacity density. Therefore, the wind turbine capacity density of wind farms in Korea must be calculated precisely first, in order to accurately calculate wind resource potential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of the 67 total wind farms in Korea, 18 wind farms were selected, all of which had a total installed capacity of 10 MW or higher and had more than 10 wind turbines. Wind turbine coordinates and wind farm areas were determined using Daum Map Skyview, facilitating the calculation of wind turbine capacity density and wind turbine spacing. The mean wind turbine capacity density of wind farms in Korea was calculated at 6.9±2.1 MW/km2, and the mean wind turbine spacing was calculated at 3.5D (D is a rotor diameter). In the future, when wind resource potential is calculated, the above values can be used to provide more realistic wind energy dissemination targets than it was previously possible.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