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지인 (충남대학교) 최성희 (충남대학교)
저널정보
대한지질학회 지질학회지 지질학회지 제59권 제2호
발행연도
2023.6
수록면
235 - 246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고-우라늄 (U > 2,000 ppm) 저어콘은 결정화 이후 시간의 경과와 함께 U의 방사성붕괴에 의한 광물 격자 내 손상을 입는다. 메타믹트화 작용이라고 불리는 이 과정은 저어콘의 물리적 특성(예, 경도, 결정화, 비중 등)과 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초래한다. 메타믹트화된 저어콘의 연대를 SIMS (예, SHRIMP) 장비로 측정하면, 기질효과(matrix effect)에 의해 실제보다 높은 겉보기 연대가 산출될 수 있다. 경기육괴 서남부에 분포하는 팔봉산과 백화산 화강암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고-우라늄 저어콘에 대한 SHRIMP U-Pb 연대가 보고된 바 있는데, 이때 U 함량과 겉보기 연대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해당 연구에서는 U 함량이 2,000 ppm 일 때를 기준으로 겉보기 연대를 회귀 보정하여 팔봉산에서 174.9 ± 1.7 Ma, 백화산에서 176.8 ± 9.8 Ma의 관입연대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팔봉산과 백화산 저어콘의 연대를 fs-LA-MC-ICP-MS 장비를 활용해 새롭게 보고하고 그 결과를 SHRIMP 보정 연대와 비교 분석하였다. 팔봉산과 백화산의 U 함량은 각각 3,778-17,970 ppm과 4,760-25,700 ppm이며, Th/U의 비는 0.42-1.20과 0.28-0.99이다. 산출된 하부교차점 연대는 팔봉산에서 168.3 ± 1.4 Ma이며, 백화산에서 174.0 ± 3.6 Ma이다. 주목할 점은 U 함량과 LA-ICP-MS로 분석된 206Pb/238U연대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LA-ICP-MS를 활용한 연대 분석에서는 기질효과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지시하며, 따라서 그 결과가 각 암체의 관입 시기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팔봉산과 백화산의 SHRIMP U-Pb 연대는 y절편을 기준으로 회귀했을 때 위 관입 시기와 가장 근사한 연대가 산출된다. 단순회귀분석법에서 적용되는 기준 U 함량이 분석시료 및 장비분석조건에 따라 가변적인 점은, SHRIMP 연대를 보정해 메타믹트화된 저어콘의 절대연대를 신뢰도 높게 산출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드러낸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지질개요 및 분석시료
3. 분석방법
4. 분석결과
5. 토의
6.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