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한글초록
Ⅰ. 서론
Ⅱ. 새로운 극동지역 개발 계획
Ⅲ. 러시아의 수소에너지 발전 전략
Ⅳ. 극동지역 관광 발전 계획
Ⅴ. 결론: 한-러 협력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푸틴 집권 4기 극동개발정책과 한ㆍ러 신경제협력 방향
[KIEP] 연구보고서
2018 .12
푸틴과 러시아 극동개발 20년 : 한-러 극동 협력 심화를 위한 新방향 모색
[KIEP] 단행본
2019 .12
Оценка текущего российско-корейского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и перспективы развития на средне- и долгосрочный период
[KIEP] 연구보고서
2015 .12
한·러 경제협력의 평가와 중장기 비전
[KIEP] 연구보고서
2015 .12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중 경제협력: 극동지역의 성과를 중심으로
러시아연구
2018 .01
극동지역 ‘선도개발구역’ 조성의 의의와 한국과의 협력 가능성
국제지역연구
2015 .01
러시아 연해주 선도개발구역을 활용한 플랫폼 비즈니스 제안
중소연구
2016 .11
극동 러시아 해양관광산업
러시아연구
2019 .01
푸틴 4기 중국-러시아의 경제협력 - 극동 러시아를 중심으로 -
동북아경제연구
2024 .08
러시아 극동연방지구 환경 및 생태문제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활로
중소연구
2016 .02
중·러 초국경 경제협력의 메커니즘과 현황, 장애 요인: 지린성, 헤이룽장성과 극동 러시아를 중심으로
러시아연구
2021 .11
러시아의 극동개발전략과 동북아시아: 한·중·일의 대러 협력 특징과 방향성을 중심으로
러시아연구
2024 .05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극동 러시아의 에너지, 물류 투자의 현황과 계획
러시아연구
2016 .01
러시아 극동지역의 관광자원과 한국 관광산업 개발 방안
한국 시베리아연구
2015 .01
러시아 산업정책 및 산업공간의 변화와 한러 산업협력
러시아연구
2016 .01
푸틴과 러시아 극동개발 20년: 한-러 극동 협력 심화를 위한 新방향 모색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9 .12
러시아 임업 발전 전망 분석과 한·러 임업 협력:하바롭스크 변강주를 중심으로
한국 시베리아연구
2019 .01
러시아 체제전환기 중국노동자의 러시아 극동지역 진출 구조
한국 시베리아연구
2016 .01
러시아 동해연안 항구의 역동성과 해상협력을 위한 한국의 선택
한국 시베리아연구
2017 .01
How to See Diasporas Ethnographically ― The Case of Koreans in the Russian Far East ―
디아스포라연구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