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충규 (서원대학교)
저널정보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日語日文學 第99輯
발행연도
2023.8
수록면
61 - 77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10)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는 제3차 교과서『고등학교 日本語(上)』과『고등학교 日本語(下)』에 나타난 복합동사를 분석한 것이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上권의 전체어수는 23개, 개별어수는 7개, 下권의 전체어수는 168개, 개별어수는 65개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제3차 교과서에서는 전체어수 191개, 개별어수 69개로 제2차 교과서의 전체어수 586개, 개별어수 250에 비하면 복합동사의 수가 크게 줄어들었다. 이에 대한 주요 원인은 단원수 및 본문의 문장수 감소를 들 수 있다.
둘째, 제3차 교과서에서 최초로 등장한 복합동사는 총 42개로 나타났다. 이 중 타 교육과정 교과서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예, 즉, 제3차 교과서에서만 출현한 복합동사는 총 19개로 판명되었다. 구체적으로는 ‘見詰め直す、着直す、引っ張り出す、乱れ咲く、振り立てる、暴れこむ、溢れ流れる、洗い直す、生き残る、植え返す、聞き終わる、来直す、し終わる、し返す、し直す、食べ直す、増え上がる、見終わる、燃え続く’로 본고에서는 이들을 ‘제3차 교육과정 교과서 전용 복합동사’로 규정하였다.
셋째, 제2차 교과서에서는 복합동사 용례에 포함되어 있는 한국 관련 어휘가 상당수 확인되었는데, 제3차 교과서에서는 해당 어휘가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복합동사 수가 크게 감소한 것과 연동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넷째, 제2차 교과서와 제3차 교과서에서 중복 확인되는 복합동사는 총 27개로 나타났다. 沈姷利(2013)에서는 해당되는 예를 14개 제시하고 있지만, 본고에서는 세밀한 추출 작업을 통해 복합동사에 특화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그 결과 새롭게 13개를 추가하여 제시할 수 있었다.
다섯째, 교과서 기본 구성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것은 개별 학습 항목으로 복합동사를 별도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제2차 교과서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시도로 일본어교육에서의 복합동사 학습 필요성에 대한 당시 저자들의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대목이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기
2. 선행연구
3. 연구 자료 및 분석 방법
4. 복합동사 분석
5. 고찰
6. 나가기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2-2023-830-002040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