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 되짚기(01)] 더 늦기 전에 원칙 지키는 저널리즘 바로 세워야
신문과방송
2023 .04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 되짚기(05)] 원칙 : ‘무엇을’ 쓸지 만큼 ‘어떻게’ 쓸지도 고민해야
신문과방송
2023 .08
헬스 저널리즘_저널리즘 원칙의 사각지대
신문과방송
2019 .07
팩트체크를 체크한다
미디어이슈
2017 .07
팩트체크란 무엇인가
연구보고서
2022 .12
서울신문 기사 삭제 사태로 돌아본 디지털 저널리즘의 원칙_저널리즘 원칙 바로 세우려면 독자를 보고 나아가야
신문과방송
2022 .04
저널리즘의 새 기대주 팩트체크
관훈저널
2017 .09
팩트체크 현황과 이슈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코로나19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2020 .10
[서문] 신뢰받는 팩트체크 저널리즘의 실천을 바라며
연구보고서
2022 .12
스트럭처 저널리즘, 데이터 저널리즘을 넘어서
해외미디어동향
2015 .12
언론의 위기와 저널리즘 기본 원칙
언론중재
2018 .03
팩트체크가 무의미한 시대
주간경향
2025 .03
데이터 저널리즘=‘천천히’ ‘팀’으로 일하기 : ‘데이터 저널리즘 서밋 2016’을 통해 본 데이터 저널리즘
신문과방송
2016 .05
[저널리즘 분야] 더 나은 저널리즘 실천 뉴스 이용자 파악부터 시작해야
신문과방송
2022 .12
스포츠 저널리즘을 위한 제언_저널리즘 사라진 스포츠 보도 외설·선정 넘어 ‘진지한 저널리즘’ 실천해야
신문과방송
2021 .10
체크톡을 팩트체크 수업에서 실제로 활용해 보니
팩트체크 동향리포트 'FACT(팩트)'
2021 .12
저널리즘 연구와 교육의 필요성_‘연구-교육-현장’ 환류 체제 갖춰야 저널리즘 발전
신문과방송
2018 .11
VR 저널리즘 연구
연구보고서
2016 .11
딥페이크 기술의 발전과 저널리즘의 새로운 위협 - 이미지공정성 확보를 위한 영상 팩트체크 필요성
언론중재
2020 .09
저널리즘 교육 혁신을 위한 제안
연구보고서
2017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