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 전기 對明 使行貿易의 교역지대와 구성원
인문과학연구
2017 .12
정묘호란 이후 조선에 대한 명의 貢路⋅貢期 변경 및 조공사행 통제 강화
민족문화연구
2024 .05
16세기 후반 조일관계와 대일사행의 파견
한일관계사연구
2020 .05
조선과 중국(명 · 청)의 사행외교
한일관계사연구
2016 .12
16세기 조선 對明 사행단의 정보수집과 정보력
대동문화연구
2016 .01
조선시대 해로 사행에 관한 연구현황과 전망
동서인문학
2021 .02
조선시대 대중국 사행의 정치·외교적 의미 — 麟坪大君의 使行을 중심으로 —
온지논총
2015 .01
초기 대청 북경사행 기록과 사행 노정 검토
온지논총
2019 .01
두 조선 사행의 외교 활동과 명의 대응 -1627년의 김상헌과 1637년의 김육-
대구사학
2022 .08
임진전쟁기 조선과 명의 전쟁인식과 군수정책
중국사연구
2022 .08
17세기 초 대명 해로사행의 해상 사행시 : 대명 해로사행문학 연구의 기반과 토대 구축을 위한 시론
한국문학과 예술
2017 .06
3년 1행인가, 1년 3행인가 - 고려-명 관계에서 사행 빈도 문제
동북아역사논총
2022 .03
1598년 조선 조정의 명군지휘부 접촉과 전쟁국면 調整
史叢(사총)
2024 .09
조선시대 外交儀禮의 특징
동양학
2016 .01
임진전쟁기 명사(明使)에 대한 외교의례 전개 양상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2 .09
조선 성종대 외교의례 변경에 대한 논의와 대명의식
역사와현실
2015 .12
17세기초 명·청교체와 대중국 사행의 변화 : 대후금 사행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15 .03
试论明代外交的特点 - 以出使朝鲜明使为主 -
역사문화연구
2015 .01
1811년 신미통신사 빈례(賓禮) 관련 회화 연구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5 .03
고려 공민왕대 대중국 사신 인선의 특징
동국사학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