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및 목적) 포켓몬 대란, 롯데홈쇼핑 캐릭터인 벨리곰의 해외 진출 등‘캐릭터 전성시대’라 불릴 만큼 캐릭터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 공공영역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도시를 대표하는 이미지를 캐릭터로 내세우는 지자체가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캐릭터를 활용한 지자체의 수는 많아지고 있지만, 반면에 대중의 인지도를 얻고 지속적인 관심을 받는 캐릭터는 드물다. 본연구는 해외의 캐릭터 성공사례를 살펴보고, 국내 수도권 지자체에서 사용되고 있는 캐릭터가 지역 특성과 캐치프레이즈를 얼마나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현재 캐릭터의 동향과 해외에서 도시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으로 보여지는 캐릭터 3개를 분석하고, 국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등 수도권 각 지자체의 캐릭터를 다음네 가지의 방법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첫째, 각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캐릭터와 관련 정보를 전반적으로 수집하고, 조사된 캐릭터의 중요 요소인 형태적 특징과 도시와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둘째, 지자체별 대표 캐릭터 관계도 그래프를 통해 형태 특성과성격을 유형화한다. 셋째, 도시 아이덴티티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도시 슬로건이나 캐치프레이즈를 조사한다. 넷째, 캐릭터와 캐치프레이즈 간의 연관성이 짙은 2곳을 선정하여, 현재 활용되고 있는 양상을 심도 있게 탐색한다. (결과) 사례로 찾은해외 도시의 캐릭터는 도시의 상징, 메시지, 역사적 인물 등 각 지역을 대표하는 특성을 반영하여 제작된 것으로 확인됐다. 수도권 지역캐릭터는 지역을 대표하는 동식물, 인물, 지형, 메시지, 상징을 반영하여 형태적인 부분에서 지역 특성과의 연관성은 높았지만, 잦은 지자체장의 변경으로 인하여 캐치프레이즈 역시 여러 차례 변형되면서 결론적으로 대부분의 지역캐릭터와의 연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지역 특성과 캐치프레이즈 그리고 캐릭터 간의 연관성이 높은 지역으로 서울시 중구와 인천시 서구를 뽑을 수 있었고, 이 지역캐릭터는 시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는 등 캐릭터가 지닌 영향력이 큰 것으로 보여졌다. (결론) 현재 대부분 지자체 캐릭터들이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만 캐치프레이즈와 조화를 이루지는 못하고 있다. 캐릭터가 지역의특성과 더불어 캐치프레이즈와의 높은 연관성을 갖고 지역을 대표하는 캐릭터가 된다면, 시민들에게 통합적인 지역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한다면 지자체 홍보 및 미래가치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terest in Characters has increased enough to be called the ‘Heyday of Characters’ Such as Pokemon syndrome and Lotte Home Shopping character Belly Gom’s overseas expansion. The same goes for the public side, the number of local governments are putting forward characters as a representative image of the city. Although the number of local governments using characters is increasing, it is rare for a character to gain public recognition and receive sustained attention. This study examines successful cases of overseas characters and tries to figure out how appropriately the characters used in local government in the metropolitan area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atchphrases. (Method) Analyze the current character trends and three characters that seen a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abroad. a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the characters of each local government in the metropolitan area, such as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are explored in the following four ways. First, overall character and related information are collected through the homepage of each local government,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hich are important elements of the investigated character,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ity are analyzed. Second, the shape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ies are classified through graphs of representative character relationship by local governments.
Third, each city slogan or catchphrase is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connection with the city identity. Fourth, by selecting two places that have a strong connection between characters and catchphrases, the currently used aspects are explored in dept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s of overseas cities found as examples were produc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such as the city’s symbol, message, and historical figure. The regional characters of the metropolitan area reflected the flora and fauna, historical figures, topography, messages, and symbols representing the region, and were highly correlated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morphological aspect, but due to frequent changes by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the catchphrases were also transformed several times, and in conclusion, most of them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local characters. Among them, Jung-gu in Seoul and Seo-gu in Incheon can be selected as regions with high correlation between regional characteristics, catchphrases, and characters. (Conclusions) Most of the local government character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but they do not harmonize with the catchphrase. However, if the character becomes a representative character of the region by having a high correlation with the catchphrase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t can provide citizens with and integrated image of the region, and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publicity of the local government and future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