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권기는 당해 도서의 서지요소를 특정한 곳, 즉 표제지 이면이나 도서의 말미에 모아서 기재한 것을 의미하며, 도서관에서 목록을 작성할 때 유용한 정보원으로 활용된다. 그런데 판권기의 정의와 기능에 대한 설명이 분명하지 않아, 이를 재정립하여 보면, 당해 도서의 특정한 지면(표제지 이면, 마지막 페이지)에 도서관련 서지요소를 기술해 놓은 것을 판권지(Colophon)라고 하고, 표제지와 판권지에 발행지, 발행처, 발행년 등의 발행사항을 기술해 놓은 것을 간기(Imprint)라고 명명한다. 그리고 출판물을 간행할 때 제도적으로 간행물에 반드시 표시해야 하는 기록사항은 저자, 발행인, 발행일, 출판사, 국제표준자료번호, 정가 등이다. 이러한 요소를 포함하여 판권기에 기록할 서지요소는 서명, 저자명, 발행지, 발행인, 발행년월일, 인쇄지, 인쇄자명, 인쇄년월일, 판차, 쇄차, 발행자 주소 및 연락처, 정가, 국제표준도서번호, 저작권, 출판시도서목록, 저자약력 등이다. 이 판권기에 기술되는 서지요소는 출판기술의 발전과 출판환경의 변화에 따라 필요한 서지요소들이 추가로 기재되고 있다.
Colophon means an element to describ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the concerned books on the specific space like a back of title page or the last page of a book, and is used as a useful information source when cataloging in a library. Imprint means an element to describe publication information to a title page or verso of a title page of a book. In addition, institutionally required elements to describe on a book are an author, a publisher, a date of publication, a publishing company, ISBN, and a price when printing publications. The bibliographic elements to describe on colophon are a title, an author, a place of publication, a publisher, the date of publication, a place of printing, a printer, the date of printing, edition, impression, the address and contact point of a publisher, a price, ISBN, a copyright, CIP, and the profile of an author, etc. The necessary bibliographic elemen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publishing technology and changes of publishing environments are additionally described in this coloph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