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판소리가 동시대 관객 혹은 당대 귀명창과 조우하는 중요한 매체는 무대공연이다. ‘판의 예술’인 판소리는 공연을 통해 연행될 때 비로소 존재한다는 점에서 판소리 공연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판소리 공연의 양식적, 사적 연구는 판소리 연구사에서 매우 소략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근래에 시작되었다. 현재에도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공연장, 축제, 개인 발표회 등 판소리 공연에 비해 판소리 공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해 보인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근현대 판소리 공연사를 기획의 관점에서 사적(史的)으로 고찰한 후, 2023년 공연계와 판소리계의 주목을 받았던 대표적인 판소리 공연을 전주세계소리축제의 판소리 공연, 유네스코 등재 20주년을 기념한 월드판소리페스티벌의 판소리 20시간 릴레이 프로젝트,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K-VOX 페스티벌의 사례를 살펴본다. 이들 사례를 통해 2023년 다양하게 개최된 판소리 공연은 완창, 명창, 중견, 신진, 아마추어, 글로벌 등 다양한 키워드와 함께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기획은 다시 판소리 판의 연행을 추동하고 확장했고, 판의 의미와 축제성을 잘 살린 연행은 다양한 연행자와 감상자의 참여로 확장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대 예술로서 판소리는 소리판이 있기에 가능하며, 현대적 기획의 소리판은 동시대적 상상력을 가미하며 시대적 역할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텍스트 중심의 판소리 공연연구를 기획·연행·감상의 역학으로 확장해야 한다는 점과 판소리 공연연구에서 당대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Today, the performance of pansori serves as a crucial medium through which it engages modern audiences and performers. Pansori, the art of pan(lit. performance site), truly exists only when it is performed,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into pansori performances. Nevertheless, despite that importance, historical research into pansori performance itself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within the field of pansori studies relative to text-centered studies of its literature and musical traits. Studies on the format and historical aspects of contemporary pansori performance have been relatively scarce and only recently initiated in pansori studies. However, thi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prevalence of current pansori performances in various venues including festivals and pansori performers’ concerts.
After examining the planning and performance of pansori post-twentieth century, this study explores representative performances garnering attention from the performing arts and pansori communities in 2023. These include performances at the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the World Pansori Festival’s Pansori 20-hour Relay Project commemorating the 20th anniversary of UNESCO listing, and the K-VOX Festival held in Paris, France. These cases confirm that the various pansori performances held in 2023 shared a focus on wanchang(full-length) format performance, master, middle-aged master, young master, novice, and global performers in their planning. Such designed reinvigorated and expanded the concert performance of pansori and confirmed the performances’ effective preservation of the meaning and festivity of the pansori concert, thereby expanding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performers and audiences. Pansori as contemporary performing art is made possible by the existence of the “sori-pan”(pansori concert), through modern planning, imbued with a contemporary imagination and performing a timely role. This study, which began with the reorganization of contemporary pansori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planning, argues the necessity of contemporary research into pansori performance studies, emphasizing the need to expand them text-centered research to the dynamics of planning, performance, and appre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