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시작하며 : 너무 늦어버린 지구에서
2. 기후 위기를 은폐하는 지식인의 인식 특권
3. 노동계급의 곤경, 사라지는 환경 오염
4. 순환과 회복에 대한 믿음, 그리고 주체에의 심문
5. 나가며 : 공생과 연결을상상하는 힘의 잔존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위기 담론과 고고 자료의 관계성 연구
영남고고학
2023 .05
위기 후 성장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
신학과세계
2020 .06
기후 위기를 해결하려면
한국여성신학
2019 .12
국가와 위기의 상호구성성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의 함의
담론201
2023 .02
아동·청소년소설에서 기후위기의 재현 양상
한국아동문학연구
2025 .01
‘우물’에 빠진 철학, 탈출구는 있는가?
철학논총
2015 .04
기후 위기 시대 한국시의 생태적 감수성과 미학
문학과환경
2022 .12
‘역사적 위기’: 개념, 이론, 활용
韓國史學史學報
2021 .12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생태학적 담론에 관한 고찰― 「도요새에 관한 명상」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5 .01
기후 위기는 정의의 위기다
타우마제인
2024 .09
기후위기, 노동의 위기
황해문화
2022 .03
기후위기, 불평등의 위기
황해문화
2022 .03
지역의 위기, 문명의 위기, 농의 위기와 그 극복
원불교사상연구원 학술대회
2022 .10
기후위기, 우리에게 남은 10년
세계와선교
2020 .01
위기적 세계를 살아가기 위해
푸른사상
2022 .03
위기를 넘는 우리의 방식
황해문화
2025 .03
위기의식과 철학의 정체성 검토 - 이지(李贄) 이해를 위한 새로운 단서 -
양명학
2019 .09
기후 변화시대, 칼빈 창조론의 유효성
한국개혁신학
2015 .05
윤리적 문제로서의 기후 위기와 실천적 문제들
환경철학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