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4
Ⅰ. 序 論 1Ⅱ. 理 論 32-1. pn 접합 32-2. 제로 인가 바이어스 52-2-1. 내부전위장벽 52-2-2. 전계 82-2-3. 공간전하폭 142-3. 역방향 바이어스 162-3-1. 공간전하폭과 전계 182-3-2. 접합 용량 202-4. one-sided p+n 접합 222-5. 불균일하게 도핑된 접합 252-5-1. 선형적으로 경사진 도핑을 갖는 접합 252-5-2. 초계단형 접합 312-6. Quality factor 33Ⅲ. 分析 343-1. 30 V 구동 전압 소자에 대한 분석 343-1-1. 전기적 특성 343-1-2. 조립 공정 353-1-3. 마스크 383-1-4. p+n 접합 농도 프로파일 403-1-5. 특성 433-2. 3.3 V 구동 전압 소자의 전기적 특성 453-2-1. 유추한 전기적 특성 453-2-2. 유추한 C-VR와 LF-VR 특성 그래프 46Ⅳ. 시뮬레이션 474-1. 주요 개념 474-1-1. n+ 층 implant ΔRp 축소 474-1-2. p+ 층 implant 소스 변경 484-1-3. n 층 삽입에 의한 최대 선형성 factor 조절 504-2. 시뮬레이션 조건 및 결과 534-2-1. n+ 층 확산시간 변화에 대한 특성 결과치 544-2-2. n+ 층 도즈량 변화에 대한 특성 결과치 564-2-3. 에피 웨이퍼 두께 변화에 대한 특성 결과치 584-3. 시뮬레이션 결과 비교 604-3-1.공정 조건 비교 604-3-2. 농도 프로파일 및 용량 특성 비교 61Ⅴ. 實驗 및 結果 635-1. 실험 조건 635-1-1. n+ 층 도즈량 변화에 따른 실험 조건 635-1-2. n 층 도즈량 변화에 따른 실험 조건 645-2. n+ 층 도즈량 변화에 대한 실험 결과 655-2-1. 용량 값과 용량 기울기 결과치 655-2-2. 선형성 factor 결과치 675-2-3. 상관관계 695-3. n 층 도즈량 변화에 대한 실험 결과 725-3-1. 용량 값과 용량 기울기 결과치 725-3-2. 선형성 factor 결과치 745-4. 실험 결과 분석 765-5. 30 V와 3.3 V 구동전압 소자의 특성 비교 775-5-1. 공정 조건 비교 775-5-2. 용량 값(C)-VR 특성 비교 785-5-3. 선형성 factor(LF)-VR 특성 비교 805-5-4. 시리즈 저항(rs)-VR 특성 비교 825-5-5. Quality factor(Q)-VR 특성 비교 845-6. 더 낮은 구동전압 소자 개발 방안 865-6-1. 개발 개념 865-6-2. 실험 조건 885-6-3. 특성 결과 895-6-4. 문제점 935-7. 용량 산포 개선 945-7-1. 용량 커플링 공정 945-7-2. 용량 산포 개선 975-8. 전기적 특성 결과 1025-8-1. 역방향 누설 전류 및 전압 특성 1025-8-2. 용량 특성 1045-9. 소자 검증 106Ⅵ. 結 論 107參考 文獻 109英文 抄錄 1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