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민유진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김대은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연세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0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플렉시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에 고분자재료를 적용하고자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사용되는 유리 기판의 경우, 높은 내열성, 투명성, 기체차단성 등의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특히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자산업에서 매우 유용하지만 떨어트리면 깨질 수 있으며 유연성이 없고 비교적 무거워서 플렉시블 기판을 구현함에 있어서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유리 기판을 대신할 재료로써, 무게가 가볍고, 우수한 유연성을 지닌 고분자재료를 활용하고자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고분자 재료 중 폴리이미드가 최적의 플렉시블 기판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폴리이미드와 같은 고분자재료들은 유리 기판에 비교해볼 때, 고온에 취약한 등의 열적 특성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디스플레이 공정 중 하나인 고온의 TFT공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최근 전자소자의 고집적화 및 고성능화에 따라 발생하는 발열문제를 충족시킬 수 있을 정도의 열적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고분자는 낮은 강도 및 경도를 가지고 있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낮은 내구성으로 인해 플렉시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적용함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열적, 기계적 내구성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주된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고분자 재료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열전도성 필러를 함유한 복합재료를 개발하고자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뛰어난 성능의 복합재료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적정 농도의 필러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과 고분자 매트릭스와 필러간의 계면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너무 많은 양의 필러를 함유시키게 되면 열적 특성은 증가될 수 있으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고분자매트릭스와 필러간의 약한 결합은 필러의 뭉침과 공극의 형성을 유발하여 열의 손실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필러를 선택하고, 적절한 농도를 결정하는 것이 고분자복합재료의 성능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폴리이미드의 열적 특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러 접촉에 의한 thermal path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방성이 큰 질화붕소를 선택하였고,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있는 질화붕소를 박리한 질화붕소나노 시트를 제조하여 총 두 가지의 필러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필러를 1, 2, 3, 10 wt%로 혼합한 PI/BN, PI/BNNS 복합필름을 각각 제작하였다. 총 9개의 시편에 대한 표면특성, 열 특성, 투명도, 마찰, 마모, 유연성을 평가하여, 모든 특성들을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농도를 찾고자하였다.
그리고 같은 재료이지만 형상이 다른 두 필러인 BN과 BNNS가 복합재료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및 고찰하고, 두 필러를 혼합한 복합필름이 서로 다른 특성을 보여주는 원인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BNNS 필러를 함유한 PI 복합필름의 경우, BN 필러와 비교해,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열적, 마찰, 마모, 유연성, 모든 면에서 뛰어난 특성을 보였고, 2 wt% BNNS를 함유한 복합필름이 모든 특성이 적절하게 개선된 최적화된 농도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플렉시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이 적용 가능한 고분자복합재료의 내구성 향상과 관련된 연구들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