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민들은 소음, 대기오염 등 각종 환경문제로 심리적·생리적 질병의 유발 가능성을 안고 산다. 이로 인해 질병 예방 및 건강증진 장소로서 숲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도시숲은 접근이 쉽고 심신에 안정과 편안함을 주며, 일상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등 치유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여러 계층의 이용자들이 도시숲을 찾고 있어 도시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최근 숲을 이용하는 중재프로그램의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긍정적인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숲의 주된 이용층인 가족, 중년여성, 직장인 남성을 대상으로 맞춤형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심리적 효과를 규명하였다. 도시숲을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ADDIE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에 따라 개발하였다. 가족, 중년여성, 직장인 남성의 요구도 분석 및 심리·사회적 특성과 문제 양상을 확인하고 도시숲의 치유자원과 환경요소를 토대로 구조화하여 중재 내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인천대공원 관모산에서 진행되는 가족과 중년여성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밝힌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직장인 남성은 소방서와의 기관협약으로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실험은 2018년 4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진행되었고, 가족은 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21가족(65명), 중년여성은 40~65세의 여성으로 45명, 직장인 남성은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73명이 최종적으로 참여하였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심리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를 사용하여 참여자의 프로그램체험 전후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가족은 가족응집력과 가족관계, 중년여성은 자아존중감, 심리적행복감, 갱년기 증상을, 소방공무원은 직무스트레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감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고,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자는 가족응집력과 가족관계 변화에서 모두 유의한 개선 효과가 있었다. 둘째, 중년여성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자는 자아존중감, 심리적행복감에서 유의한 개선 효과가 있었고, 갱년기 증상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소방공무원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자는 직무스트레스, 외상후 스트레스, 우울감에서 유의한 개선 효과가 있었다. 넷째, 프로그램 만족도에서는 가족과 중년여성이 직장인보다 전반적인 만족도와 재방문 의사가 높았다. 가족과 중년여성은 ‘프로그램 구성내용’과 ‘산림치유지도사의 진행’이, 소방공무원은 ‘프로그램 구성내용’이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 도시숲을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가족응집력을 높이고 가족관계를 개선하며,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행복감 향상 및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고,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외상후 스트레스 및 우울감 완화 등 심리적 변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렇듯 도시생활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생활권 도시숲에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효과적으로 관리하면 질병 예방과 정신건강 회복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가 도시숲 이용 활성화 및 도시숲에서 산림치유 활동을 보다 구체적이고, 지속적이며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Urban residents live with the possibility of causing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diseases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noise, air pollution, etc. As a result, interest in forests is increasing as a place for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In particular, urban forests are used as healing spaces for easy access, providing stability and comfort to the mind and body, and relieving daily stress. Therefore, various levels of users are looking for urban forests, and a systematic forest therapy program is needed to improve the health of urban residents. As studies on intervention programs using forests have recently been conducted, positive effects have been report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sychological effects were investigated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customized urban forest-based forest therapy program targeting family groups, middle-aged women, and office workers who are the main users of urban forests. The urban forest-based fores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five stag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by applying the ADDIE model. The needs of families, middle-aged women, and office workers were analyze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 patterns were identified, and the contents of intervention were structured based on the therapy resource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urban fores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for families and middle-aged women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at Gwanmosan in Incheon Grand Park. The participants for office workers were chosen in the fire departments which agreed with Incheon Cit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April in 2018 to Octover in 2019 with 21 families (65 people), 45 women aged from 40 to 65 and 73 firefight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urban forest-based forest therapy program, the effect of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xperience was evaluated using the experimental design before and after of a single group. Family cohesion and family relations for family groups,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enopausal symptoms for middle-aged women and job stres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on for firefighters were evaluated and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participants of the forest therapy program had show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family cohesion and family relationship. Second, the middle-aged woman participants had show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menopausal symptoms. Third, firefighter participants had shown a significant decrease in job stress,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Fourth, in terms of program satisfaction, families and middle-aged women had shown higher overal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an firefighters. The high satisfaction of family members and middle-aged women have been effected by a “program content” and “forest therapy instructor’s progress,” and of firefighters by a “program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identified that an urban forest-based forest therapy program improves family cohesion and family relations of families, improves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enopausal symptoms of middle-aged women and have positively effected on job stress,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of firefighters. As such, effective management of stress from urban life through forest therapy programs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diseases and restoring mental health.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more concretely, continuously, and easily in urban forest use and forest therapy activities.
Ⅰ. 서론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목적 63. 연구내용 7Ⅱ. 이론적 고찰 91. 산림치유 개념 및 효과 92. 도시숲 특성 및 치유 효과 153. 가족과 여가활동 204. 중년여성의 특성 225. 소방공무원과 정신건강 24Ⅲ 연구방법 271. 연구대상지 271) 인천대공원 현황 272) 산림환경요소 323) 산림치유자원 372. 도시숲을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401) 개발목적 402) 개발절차 403. 도시숲을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효과 441) 연구대상 442) 연구절차 463) 연구도구 474) 자료분석 56Ⅳ. 도시숲을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571.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571)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572)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문헌고찰 892.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981) 산림치유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982) 산림치유 자원 및 방법선정 1003) 산림치유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103Ⅴ. 도시숲을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효과 1171. 가족 산림치유 프로그램 효과 1171) 프로그램 효과검증 1172)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1203) 고찰 1222. 중년여성 산림치유 프로그램 효과 1241) 프로그램 효과검증 1242)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1283) 고찰 1303. 소방공무원 산림치유 프로그램 효과 1321) 프로그램 효과검증 1322)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1383) 고찰 140Ⅵ. 결론 및 제언 1431. 결론 1432. 한계점 및 제언 146참고문헌 147부록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