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송윤숙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지도교수
김혜정
발행연도
2022
저작권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36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노인 장루보유자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노인 장루보유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감과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장루관련 문제,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감, 우울이 지역사회자원인 공식/비공식적 자원 활용에 대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고 돌보는 가족원의 부담감과 우울을 예방하거나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서울 시내 S대학교 병원에서 대장암 수술 후 장루형성술을 시행 받은 후 2개월 이상 장루를 보유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 장루보유자를 돌보는 가족원으로 19세 이상의 125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수의 기술 분석 결과, 장루관련 문제는 평균 1.81점이며, 부양부담감은 평균 2.90점, 우울은 평균 2.58점, 지역사회자원 활용은 평균 1.8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에서 돌보는 가족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연령, 교육정도, 경제상태, 건강상태, 장루보유자와 관계에서, 장루보유자의 특성은 기저질환 수, 수술 병행치료에서 부양부담감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보는 가족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돌보는 가족원의 연령, 교육정도, 경제상태, 건강상태, 장루보유자와 관계에서, 장루보유자의 특성은 기저질환 수에서 우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장루관련 문제는 부양부담감(r=.22, p<.05), 우울(r=.19, p<.05)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부양부담감은 비공식적 자원 활용(r=-.26, p<.01)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우울(r=.80, p<.01)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감에 영향요인에 대한 검증결과에서 장루관련 문제는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감에 영향을 미쳐 장루관련 문제가 높으면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감 정도가 높아졌다. 공식적 지역사회자원 활용은 장루관련 문제와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감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가 있으나 비공식적 지역사회자원 활용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돌보는 가족원의 우울에 영향요인에 대한 검증결과는 돌보는 가족원에서 장루관련 문제는 돌보는 가족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감 중 신체적 부담과 정서적 부담은 우울에 영향을 미쳐 신체적 부담과 정서적 부담이 증가할수록 우울정도도 높아지는 것을 나타냈다. 지역사회자원 활용은 장루관련 문제,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감, 우울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실천적·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 배우자를 대상으로 국가나 지역사회에서 정서적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심리상담 프로그램이나 가족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회내에서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강지원 서비스가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장루 인식 개선 활동을 통해 장루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국가적 홍보활동과 교육 및 캠페인 실시가 필요하다.
셋째, 장루환자 재택관리 사업으로 앱 이용으로 장루관리 및 상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이용이 어려운 경우는 보건소를 이용하도록 국가적 차원에서 시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장루제품 구매 편의성을 위해 의료기관 뿐만 아니라 보건소에서도 처방 가능하게 해야 하며 제품구매는 업체를 통해 배송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회복지사는 장루문제에 대한 이해, 장루보유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필요로 하는 부분을 지역사회자원 간의 연계활동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여섯째, 공식적 자원 활용을 위해 병원에서 장루보유자가 퇴원하게 되면 의료사회복지사에게 의뢰하여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의무화해야 하며, 장루협회에 대한 안내도 필요하다.
일곱째, 노인 장루보유자를 돌보는 가족원에 대한 자조집단을 통해서 서로의 어려움을 공감하고 위로를 통해 긍정적인 돌봄 형성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목차

Ⅰ. 서 론 1
제1절 연구배경 1
제2절 연구목적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
제1절 노인 장루보유자와 장루관련 문제 5
제2절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감 8
제3절 돌보는 가족원의 우울 13
제4절 지역사회자원 활용 17
Ⅲ. 연구방법 27
제1절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27
제2절 연구대상 및 연구도구 29
제3절 자료수집 절차 및 방법 35
제4절 연구의 윤리적 고려 37
Ⅳ. 연구결과 분석 38
제1절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특성 38
제2절 주요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42
제3절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변수별 차이 검증 45
제4절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56
제5절 돌보는 가족원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8
제6절 돌보는 가족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5
Ⅴ. 결론 70
제1절 연구결과 70
제2절 제언 75
제3절 연구의 차이점 및 한계 77
참고문헌 79
설문지:부록 94
영문 초록 106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