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종순 명노해
저널정보
대한인간공학회 대한인간공학회지 대한인간공학회지 제26권 제2호
발행연도
2007.5
수록면
103 - 112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was designed to validate Spreading Activation Theory (SAT) for an evaluation methodology for menu structure through Eye-Tracking approach. When a visual search is on the way, more eye fixations and time are necessary to visually process complex and vague area. From the aspect of recognition, well-designed menu structures were hypothesized to have fewer numbers of fixations and shorter duration because well-designed menu structures reflecting the users' mental model would be well matched with the product's menu structure, resulting in reducing the number of fixations and duration time. The results show that the shorter reaction times for SAT had significantly fewer numbers of fixation and shorter duration time as the hypothesis for this study stated. In conclusion, SAT was proved to be an effective evaluation methodology for menu structure with the eye tracking equipment. In addition, using SAT instead of the real performance experiment would be useful for designing user-centered systems and convenient information structures because SAT was proven to be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design and evaluation of menu structures.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및 검토
참고 문헌
저자 소개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30-016860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