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며
2. 좌파운동을 돌아본다
3. 계급지형 변화에 조응하는 좌파운동의 과제
4. 정치지형의 변화와 정치활동의 방향
5. 새로운 정치운동의 주체형성을 위하여
6. 나가며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좌파운동, 어디로 나아가야 하나?
뉴 래디컬 리뷰
2004 .12
좌파 이론운동의 흐름
뉴 래디컬 리뷰
2007 .06
국제좌파운동의 현황과 과제 : 좌파통합 움직임을 중심으로
뉴 래디컬 리뷰
2004 .12
좌파와 문화는 만나기 어려운가
뉴 래디컬 리뷰
2000 .12
한국 좌파집단의 인식과 지향
한국정치학회보
2004 .09
좌파의 핵심적 정치기획은 당 건설운동이어야 한다
뉴 래디컬 리뷰
2006 .03
좌파를 둘러싼 논쟁의 지정학 : 이광일,『좌파는 어떻게 좌파가 됐나: 한국 급진노동운동의 형성과 궤적』, 메이데이(2008)
경제와사회
2009 .06
[특집: 현대의 제국주의와 좌파 민족운동의 전개]미군정과 좌파의 노동운동 - 정치적 상황과 전평의 운동노선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1989 .04
21세기 한국 좌파의 전망
마르크스21
2009 .10
좌파 개혁주의에 답하며
마르크스21
2014 .08
여성/좌파정치의 재모색
뉴 래디컬 리뷰
2008 .06
‘중국 모델’을 둘러싼 최근 좌파들의 논의
마르크스21
2010 .06
사회주의의 혁신, 당, 그리고 좌파
뉴 래디컬 리뷰
2004 .12
세계경제위기와 좌파의 과제
마르크스주의 연구
2008 .08
[특집: 현대의 제국주의와 좌파 민족운동의 전개]칠레 민중연합의 성립과 좌절 - 좌파 내부의 논쟁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1989 .04
한국사회에서 좌파 개념의 설정
한국정치학회보
2003 .07
급진주의는 노동운동 진전의 장애물이었던가?, 이광일, 『좌파는 어떻게 좌파가 됐나』, 메이데이, 2008
뉴 래디컬 리뷰
2008 .12
초기 신좌파의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21
2009 .10
경제위기와 유럽의 좌파 정치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0 .08
좌파 혁신과 연대에 제기될 몇 가지 문제
뉴 래디컬 리뷰
2004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