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방법적 논의
Ⅲ. 대안사회론
Ⅳ. 시민사회운동론
Ⅴ. 북한론
Ⅵ. 결론
참고문헌
영문 요약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좌파운동, 어디로 나아가야 하나?
뉴 래디컬 리뷰
2004 .12
한국사회에서 좌파 개념의 설정
한국정치학회보
2003 .07
좌파와 문화는 만나기 어려운가
뉴 래디컬 리뷰
2000 .12
국제좌파운동의 현황과 과제 : 좌파통합 움직임을 중심으로
뉴 래디컬 리뷰
2004 .12
좌파 이론운동의 흐름
뉴 래디컬 리뷰
2007 .06
21세기 한국 좌파의 전망
마르크스21
2009 .10
좌파운동의 복원을 위하여
뉴 래디컬 리뷰
2004 .12
사회주의의 혁신, 당, 그리고 좌파
뉴 래디컬 리뷰
2004 .12
여성/좌파정치의 재모색
뉴 래디컬 리뷰
2008 .06
제6장 한국의 사회변동과 시민사회: 동아시아 신좌파의 시각에서
비교사회
2002 .07
좌파를 둘러싼 논쟁의 지정학 : 이광일,『좌파는 어떻게 좌파가 됐나: 한국 급진노동운동의 형성과 궤적』, 메이데이(2008)
경제와사회
2009 .06
좌파 개혁주의에 답하며
마르크스21
2014 .08
‘중국 모델’을 둘러싼 최근 좌파들의 논의
마르크스21
2010 .06
좌파의 핵심적 정치기획은 당 건설운동이어야 한다
뉴 래디컬 리뷰
2006 .03
경제위기와 유럽의 좌파 정치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0 .08
세계경제위기와 좌파의 과제
마르크스주의 연구
2008 .08
한국 복지국가 논의 지형과 좌파의 과제
마르크스21
2012 .05
[특집: 사회민주주의 연구] 프랑스 좌파연합: '좌익공동정부강령'과 '좌파연립정부'를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1991 .09
보수정권의 시기를 맞이하여 좌파정치의 새로운 길을 열어주길 바라며
뉴 래디컬 리뷰
2008 .03
세계자본주의의 위기와 좌파의 대안 모색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3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