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초록】
1. 머리말
2. 한국사회 순회 영화 상영 역사 개괄
3. 전후 한국영화 산업 특징 - 극장 분포의 지역적 차이
4. 전후 순회 영화 상영의 특징 - 오락과 계몽의 협동
5. 영화산업 발전과 순회 흥행 영화 상영 - 전라남북도의 사례
6. 비도시 지역 ‘巡廻’ 영화 관람의 의미와 문화 담론
7. 맺음말 - 의의와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50년대 ‘굿쟁이’ 이동영사 : 유랑예인 연행과 시각적 근대의 매개
지방사와 지방문화
2012 .11
1940년대 초반 식민지 조선에서의 영화 정책의 특징적 양상 (1940~1942)
서강인문논총
2012 .12
한국영화의 독과점과 인력양성의 문제
인문콘텐츠
2012 .12
[영화] 낯설고도 새로운 영화
황해문화
2006 .12
[영화 속 성서 보기] 망가진 꽃들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2006 .01
체홉과 영화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6 .10
초기 영화계 형성과 일본자본의 유입에 관한 연구
동양학
2009 .01
1960년대 문화영화 정책과 그 방향
역사연구
2020 .05
한국과 프랑스의 배급 상영시장 비교 연구 : 대형 영화 배급 상영의 문제와 대안
동서인문학
2018 .08
식민지 조선에서의 교육영화 상영을 통해 본 식민지 권력의 불완전성
동북아역사논총
2016 .12
일상 속의 영화 -20~30년대 영화와 일상생활의 관련 양상 연구-
동양학
2008 .01
[영화] 디지털 영화의 가능성은 어디에 있는가?
황해문화
2002 .09
알모도바르의 ‘영화 속 영화’
외국문학연구
2009 .02
한국 영화 기술 발달에 관한 연구 ― 해방 전 시기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과 문화
2010 .01
[특집: 왜 영화인가?] 영화와 충격
철학과 현실
2003 .12
한·중 영화 교류의 역사와 미래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6 .11
수요공급관점으로 본 한국영화 위기의 진단과 전망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2008 .07
새로운 시각 이미지, 3D 입체영화
인문과학연구
2013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