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고려후기 鄕吏에 대한 還本政策
3. 恭讓王 2년 兩班ㆍ鄕吏 戶籍의 作成過程
4. 鄕吏의 身分變化와 두 가지 형식의 戶籍
5.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高麗鄕吏의 身分的 特性과 그 變化
사학연구
1992 .10
高麗時代 鄕吏의 地位
경주사학
1982 .12
高麗 鄕吏制度의 成立
역사학보
1974 .09
高麗朝의 「吏」에 對하여
역사학보
1964 .04
스사노오 신화와 神代記의 논리
일어일문학
2018 .11
高麗初期 鄕史職의 由來에 對한 小考 : 鄕史職名의 變化를 中心으로
역사와 세계
1980 .01
사행로 관련 中對馬 지명 고찰 : 芳浦 · 瀨戶 · 船頭港 · 住吉灘 · 鴨瀨 · 船越浦 등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
2018 .11
鄕歌의 本質
모산학보
1997 .05
『麗澤齋遺稿』를 통해 본 조선후기 鄕吏知識人
장서각
1999 .12
高麗時代의 良吏
역사와 담론
1974 .12
《安東鄕孫事蹟通錄》의 刊行과 朝鮮後期의 安東鄕吏 : 朝鮮後期 鄕吏集團의 地域과 家系에 따른 重層的 構造의 形成과 그 意義
한국사연구
1988 .03
高麗前期의 事審과 鄕吏
역사학보
2000 .06
高麗前期 戶等制와 농업경영규모
역사와 세계
1994 .06
鄕歌의 장르設定을 위한 一考
어문론집
1981 .06
말로(末路)
시조시학
2010 .06
鄕歌 포기에 쓰인 釋讀字
한국학논집
1976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