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머리말
1. 文ㆍ武와 「吏」
2. 「吏」의 成分과 그 官人으로의 進出
3. 官人體制下에 있어서의 「吏」의 存在
4. 能文能吏의 新官僚
맺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高麗時代 鄕吏의 地位
경주사학
1982 .12
高麗時代의 良吏
역사와 담론
1974 .12
高麗鄕吏의 身分的 特性과 그 變化
사학연구
1992 .10
高麗時代의 胥吏職
한국사연구
1969 .06
高麗
역사학보
1999 .09
朝鮮前期 貢吏 硏究
인문학연구
2000 .02
高麗 鄕吏制度의 成立
역사학보
1974 .09
고려시대 支配勢力과 鄕吏
계명사학
1997 .11
月城垓子 149號 木簡에 나타나는 更讀에 대하여 : 薜聰 當代의 吏讀 資料를 중심으로
목간과문자
2008 .06
朝鮮初期의 下級胥吏 「吏典」
사학연구
1982 .12
‘李太祖戶籍原本’에 나타난 高麗末 鄕吏의 身分變化
역사와실학
1999 .01
18ㆍ19세기 吏額增加의 현상에 관한 硏究
역사와 세계
1985 .06
高麗時代의 衡制
역사와 세계
1999 .06
사회집단간의 차별의식과 신분관념
동방학지
2004 .01
高麗時代 五行說에 대한 硏究 : 「高麗史」五行志를 중심으로
역사학보
1978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