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기본개념 및 도입
2. 의미망과 개념틀
3. 활용 및 정리
4. 참고 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Conceptual Content, Conceptual Change and Progress
코기토
1998 .12
개념적 의미에 관한 몇 가지 오해에 대하여 : 왜 개념적 의미는 담론적 의미인가
담화와인지
1997 .12
한국 개념사의 이론적 탐색에 대한 고찰과 전망
한국학연구
2019 .09
A SEMANTIC ANALYSIS OF DECISION PROBLEM
철학연구
1983 .12
‘1’에 대한 범언어적 분석
중국언어연구
2015 .01
틀의미론과 의미구조
언어과학연구
1999 .12
고려시대 새로운 영역의 연구에서 사료와 개념체계의 관계― 실제 사례를 통한 고찰
대동문화연구
2017 .01
개념적 통합 연결망의 유형 연구
언어과학연구
2012 .03
러시아어의 동사구문에서의 격의 의미적 접근
노어노문학
2002 .06
도의 개념
철학과 현실
1991 .12
개념
철학과 현실
1995 .03
개념사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철학과 현실
2010 .12
번역에서의 개념공간과 의미지도 이론연구 : 소유구문 영한번역의 경우
번역학연구
2009 .09
언어의 형식이 지니는 개념적 의미와 정보
언어
1986 .12
Social Knowledge and Semantic Content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8 .12
격이론 (Case theory)과 의미격 (semantic cases)
언어과학연구
2007 .03
Medicine for Shoes and Lanterns : The Semantic Network of Yak ‘medicine’ in Korean
담화와인지
2017 .02
‘개념사’ - 해석과 정의 사이
역사비평
201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