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의 현황
Ⅱ. 《새 역사교과서》 등장의 일본적 배경
Ⅲ. 《새 역사교과서》를 매개로 한 역사와 정치의 결합
Ⅳ.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의 성격과 활동
Ⅴ. 《새 역사교과서》가 내세우는 역사관의 핵심
Ⅵ. 《새 역사교과서》에 반영된 한국사관의 특징
Ⅶ.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의 전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30년대 전반기 일제의 고등보통학교 역사교과서 검인정제도와 조선사 교육의 특성
한국사연구
2019 .09
Study of Japanese History in Korea
Korea Journal
1985 .12
한국교과서의 문제와 전망 :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2002 .03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중ㆍ근세사 서술과 역사인식 : 후소샤(扶桑社)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2005 .06
한ㆍ일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근대사 서술 분석 : 한ㆍ일 관계를 중심으로
계명사학
2008 .11
교수요목기 중등 역사 검정 교과서의 발행 상황과 목록화
역사교육
2019 .09
역사교과서 문제의 교재화와 학습자의 인식
역사와 세계
2009 .06
한국사 교과서 검정 파동의 원인과 과제
역사와현실
2014 .06
제 7차 교육과정 高等學校 國史敎科書의 내용 분석
역사교육
2002 .12
『세계사』교과서 일본사 관련 서술의 현황과 전망 : 전근대사 서술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
2017 .12
1950년대 일본 역사교육의 국가 통제와 교과서 서술 분석
史叢(사총)
2013 .01
1910년 전후 일본의 역사 교육 : 상황, 교육과정, 교과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1 .04
일제강점기 韓 · 日 歷史敎科書에 표상된 揷畵 비교 -1930년대 ‘초등교과서’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9 .05
Problems in the Writing of Korean History Textbooks
Korea Journal
1998 .03
해방후 현대사 교육 내용 기준의 변천과 국사교과서 서술
역사학보
2010 .03
중등 “역사”ㆍ고등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반론
역사와실학
2015 .11
국정 『국사』 교과서와 검정 『한국사』 교과서의 현대사 체계와 내용 분석
역사와현실
2014 .06
동북아 시대에서 한국사 서술과 역사교육 : ‘국사’를 넘어서
역사교육
2005 .09
국정제로 회귀한 중국의 중학교 역사교과서 분석
역사교육
2018 .12
제1차 교육과정기 발행 『중등국사』 (역사교육연구회 엮음) 교과서의 특성과 의의
역사교육
2018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