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머리말
一. 郡縣制整備와 鄕吏의 移屬
二. 守令ㆍ士姓士族과 鄕吏와의 關係
三. 鄕吏의 役과 免役
四. 鄕吏의 身分的 地位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高麗時代 鄕吏의 地位
경주사학
1982 .12
高麗初期 鄕史職의 由來에 對한 小考 : 鄕史職名의 變化를 中心으로
역사와 세계
1980 .01
高麗時代의 胥吏職
한국사연구
1969 .06
高麗鄕吏의 身分的 特性과 그 變化
사학연구
1992 .10
高麗 鄕吏制度의 成立
역사학보
1974 .09
朝鮮後期 蔚山地域의 鄕吏層 變動
한국사연구
1987 .03
스사노오 신화와 神代記의 논리
일어일문학
2018 .11
朝鮮初期의 下級胥吏 「吏典」
사학연구
1982 .12
朝鮮初期 都試研究
한국학논집
1986 .12
《安東鄕孫事蹟通錄》의 刊行과 朝鮮後期의 安東鄕吏 : 朝鮮後期 鄕吏集團의 地域과 家系에 따른 重層的 構造의 形成과 그 意義
한국사연구
1988 .03
高麗朝의 「吏」에 對하여
역사학보
1964 .04
19세기 초 羅州 鄕吏層의 契 組織과 邑權의 동향
한국사연구
2005 .09
鄕歌의 本質
모산학보
1997 .05
『麗澤齋遺稿』를 통해 본 조선후기 鄕吏知識人
장서각
1999 .12
初期道家에 있어서 氣개념의 成立
정신개벽
1993 .06
朝鮮初期 議政府 研究(上)
한국사연구
1980 .12
朝鮮初期 議政府 硏究(下)
한국사연구
1981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