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조선후기 멸치어업 성립
3. 개항기 일본인 진출과 멸치어업의 확대
4. 조선인 멸치어장의 발전 양상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개항기 일본어민의 조선어장 침탈과 러·일간의 각축
대구사학
2011 .01
1920년대 <멸치의 꿈> 동화(童話)의 특징 연구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4 .12
식민지시기 부산지역의 수산물 어획고와 수산업인구 동향
역사와경계
2016 .06
[논문] 조선후기 어업에 대한 연구
역사와현실
2000 .03
생업적 어업과 상업적 어업
도서문화
2003 .02
어업민속 연구의 지형과 전망 : 어업민속지를 중심으로
민속연구
2012 .08
일본근세 어촌사회의 성립과 변모 - 대마도를 중심으로 -
역사와경계
2004 .09
‘慶尙北道水産振興共進會’(1935년)와 경북 수산업의 동향
역사와경계
2009 .12
1915년 '朝鮮物産共進會'에 반영된 일제의 식민지 수산정책
역사민속학
2006 .12
The Fisherman’ Calendar (Ⅱ)
Korea Journal
1988 .05
The Fisherman’s Calendar(Ⅰ)
Korea Journal
1988 .04
저식염 속성 멸치 발효액화물 가공에 관한 연구(I) -숙성 중 유리아미노산 변화 및 품질지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2 .01
저식염 속성 멸치 발효액화물 가공에 관한 연구(III) - 숙성 중 ATP관련화합물, TMAO, TMA, creatine 및 creatinine 함량변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2 .01
해항도시 부산의 일본인 이주어촌 건설과정과 그 현황
역사와경계
2010 .06
근대 일본식 어구 안강망의 전파와 서해안 어장의 변화 과정
대구사학
2011 .01
19~20세기 통영 · 거제 지방의 중소형 어선 어업과 그 특징 : “통구민배”의 구조적 특성과 원정 어업 관행을 중심으로
도서문화
2015 .12
개항 이후(1876∼1910) 일본 어업의 제주도 진출
역사와경계
2008 .09
거문도 멸치잡이 어구ㆍ어법의 변천과 소멸
도서문화
200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