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머리말
2. 진오기굿의 구조를 통해 본 〈말미〉거리의 의미
3. 〈바리공주〉에 나타난 공간 구조와 저승의 모습
4. 〈바리공주〉 공간 구조의 의미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무속신화의 문화적 길 : 1937년 배경재본 「바리공주」을 사례로 하여
실천민속학연구
2014 .02
전북지역 무당굿의 유형과 특징 : 전금순의 무당굿을 중심으로
실천민속학연구
2008 .02
<바리공주>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어문론집
2016 .12
바리공주 신화의 연구
한국사상과 문화
2009 .01
여성중심 시각에서 본 「바리공주」
국어문학
1996 .01
‘혼건짐 혼사굿’을 통해서 본 뭍과 물의 대칭성 : 진도 ‘산너머 달등’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도서문화
2012 .06
바리공주 서사의 수용과 활용
현대소설연구
2013 .12
<바리공주>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찾아서 -외국의 생명수탐색담 및 <니샨샤만>과의 비교연구-
동화와 번역
2005 .01
충청도 병굿의 공연예술성 연구 : ‘귀신착수’의 연극적 속성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06 .09
웹툰 「바리공주」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연구
한글
2018 .12
관북지역 〈바리공주〉의 죽음’에 대한 고찰
한국무속학
2012 .08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초 작업을 위한‘하강 모티프’의 비교신화학적 의의 탐구 : 여성 영웅 바리의 구약 여행 공간 확장을 위하여
인문콘텐츠
2012 .03
서사무가(敍事巫歌) <바리공주>의 여성적 리더십 연구
돈암어문학
2012 .12
바리공주 김포 지역 필사본 자료
한국무속학
2007 .08
서사무가와 소설의 구조적 상관관계 연구 : 서사무가 「바리공주」와 황석영의 바리데기 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10 .03
동해안 오구굿과 서울 진진오기굿의 비교
한국학연구
2007 .06
‘저승’관념에 관한 비교문학적 고찰 저승설화 연구를 위한 시론
한국사상과 문화
2004 .01
노들제 바리공주 자료
한국무속학
2009 .02
동해안 오구굿의 종교적 성격 : 함께하는 삶, 함께하는 죽음
한국학연구
2006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