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는 말
Ⅱ. 디지털 영화를 둘러싼 논쟁점
Ⅲ. 디지털 영화의 일반적인 특징 및 전개방향
Ⅳ. 실례 분석: 디지털 영화 〈기묘한 동거〉
Ⅴ.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디지털문학에서의 인간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성 연구 : 읽기의 역사에서 본 디지털문학의 수용 방식을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08 .06
언어 갈등에 관한 연구
독일어문학
2004 .01
정신분석학과 디지털문학비평 - 수용자의 몰입과 성찰을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009 .01
헤르더와 인간학적 전환 (Ⅰ)
카프카연구
2008 .12
모더니티에서 마적인 것 : 발터 벤야민의 몇 가지 모티프를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09 .06
디지털 시대에 다시 읽는 ‘매체기능전환’론 - 벤야민과 브레히트의 매체이론을 토대로
독일어문학
2009 .01
전후 세대의 입장에서 본 과거사 극복 문제 : 오어타일의 소설 『참전자들과의 이별』
카프카연구
2008 .06
디지털 다매체 시대의 글쓰기 전략 : 카프카 형상언어를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05 .06
콘라트 볼프의 <솔로 써니>와 새로운 리얼리즘의 여성영화
카프카연구
2014 .12
기독교 종말론에 기초한 한국 정치문화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03 .04
최근 독일문학의 발전경향(1990~2011)
코기토
2012 .08
20세기 후반의 비주얼 포엠 : 하인츠 가프마이르를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13 .12
포스트 트라우마 시대의 기억문화 - 그 쟁점과 함의
독일어문학
2009 .01
디지털 매체와 이동의 시대, 정체성의 문제와 환상성의 부활 - 다니엘 켈만의 <명성>과 스티븐 울리의 <아담의 푸가>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015 .01
표현주의 정치작가 루드비하 루빈너 小考
인문학논총
2002 .02
과학혁명 시대에 인문학과 과학 사이의 간극과 소통에 대하여
인문과학연구
2010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