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글로컬 문화 시대 음식 세계화에 대한 두 가지 관점
Ⅲ. 글로컬 문화 시대 한국음식의 세계화의 의미
Ⅳ. 결론 : 글로컬 문화로서 한식 세계화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식의 브랜드화 방안
국학연구
2006 .06
한식(韓食)에 담긴 전승문화적 논리와 지식 그리고 가치
민속연구
2016 .08
외국인의 한식에 대한 웰빙가치 인식과 체험이 한식의 세계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0 .01
한국음식의 국제화 방안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5 .01
수단-목적 사슬 이론의 래더링 기법을 이용한 한식에 대한 한국인의 가치체계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7 .01
원불교 음식문화의 종교적 함의
신종교연구
2015 .01
한국 음식문화의 형성과 특징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98 .01
베트남에서의 한국음식 수용과정과 세계화 전략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1 .01
문화경계가 약화되는 오늘날의 음식문화
실천민속학연구
2008 .02
서울지역(地域) 대학생(大學生)들의 식문화(食文化)에 대한 의식(意識) 및 실태(實態) 조사연구(調査硏究)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94 .01
한식명 중국어 번역 표준화를 위한 분석 연구 : 한국관광공사와 한식진흥원 간 사례 비교
번역학연구
2019 .03
독일 페그니쯔시 조리전공 학생들의 한식 패스트푸드에 대한 인식과 기호도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5 .01
해항도시의 음식문화 비교 분석 : 마산(청원), 제주와 대마도를 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2 .04
한식 식자재 프로모션을 통한 한국음식의 세계화 방안 -한식 식자재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8 .01
1990년부터 2003년까지의 식문화 연구동향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4 .01
베트남 현지인들의 한식에 대한 인지도, 이미지, 선호도, 선택속성, 만족도 및 재이용 의도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7 .01
한식 및 한식세계화에 대한 조리전공 대학생의 인식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9 .01
조선시대 부산과 왜관의 음식문화 교류와 변동 분석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6 .04
인천과 나가사키의 음식문화 비교 분석
인문학연구
201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