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Ⅰ. 서론
Ⅱ. 법에 있어서의 죽음의 문제
Ⅲ. 죽음에 대한 개인의 법적 지위의 구성방향
Ⅳ. 존엄하게 죽을 권리의 근거
Ⅴ. 존엄하게 죽을 권리의 내용
Ⅵ. 존엄하게 죽을 권리의 제한
Ⅶ.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전원합의체 판결
[1] 환자가 의사 또는 의료기관(이하 `의료인’이라 한다)에게 진료를 의뢰하고 의료인이 그 요청에 응하여 치료행위를 개시하는 경우에 의료인과 환자 사이에는 의료계약이 성립된다. 의료계약에 따라 의료인은 질병의 치료 등을 위하여 모든 의료지식과 의료기술을 동원하여 환자를 진찰하고 치료할 의무를 부담하며 이에 대하여 환자 측은 보수를 지급할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09. 2. 10. 선고 2008나116869 판결
자세히 보기서울서부지방법원 2008. 11. 28. 선고 2008가합6977 판결
[1] 생명연장 치료가 회복가능성이 없는 환자에게 육체적 고통이 될뿐만 아니라 식물상태로 의식 없이 생명을 연장하여야 하는 정신적 고통의 무의미한 연장을 강요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오히려 인간의 존엄과 인격적 가치를 해할 수 있는 경우에는, 환자가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자연스러운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더 부합하게 되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6. 11. 28. 선고 95헌바1 전원재판부〔합헌 · 각하〕
1. (가) 生命權 역시 憲法 제37조 제2항에 의한 일반적 법률유보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나, 生命權에 대한 제한은 곧 生命權의 완전한 박탈을 의미한다 할 것이므로, 死刑이 比例의 원칙에 따라서 최소한 동등한 가치가 있는 다른 생명 또는 그에 못지 아니한 公共의 利益을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성이 충족되는 예외적인 경우에만 적용되는 한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9. 11. 26. 선고 2008헌마385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심판대상인 `공권력의 불행사’라는 것은 `연명치료 중단 등에 관한 법률의 입법부작위’인바, 위 입법부작위(또는 입법의무의 이행에 따른 입법행위)의 직접적인 상대방은 연명치료 중단으로 사망에 이르는 환자이고, 그 자녀들은 위 입법부작위로 말미암아 `환자가 무의미한 연명치료로 자연스런 죽음을 뒤로한 채 병상에 누어있는 모습’을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치료거부권, 죽을 권리 및 존엄사에 대한 재검토 : 헌법적 관점에서
공법학연구
2009 .05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과 존엄사
미국헌법연구
2013 .04
죽음, 안락사, 생애마무리에 관한 헌법적 논의 ― ‘생애마무리 지원 법안’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
미국헌법연구
2019 .12
헌법재판소 결정문을 통해서 본 인간존엄의 의미 : 존엄개념의 과용과 남용
서강법률논총
2019 .02
인간존엄과 민주법학 - 노동, 젠더, 장애
민주법학
2017 .01
존엄사 관련 법안에 대한 검토
법이론실무연구
2016 .04
헌법의 '인간의 존엄과 가치' 해석론에 관한 비판적 고찰
홍익법학
2009 .01
무의미한 연명치료와 헌법상 권리
한양법학
2010 .08
미국 연방대법원의 인간 존엄성 보장에 관한 연구 -연방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홍익법학
2017 .01
일할 권리
장애와 고용
1994 .03
존엄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와 형법적 문제점
경찰학논총
2007 .01
존엄사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2010 .02
존엄사의 법제화와 완화의료 : 프랑스 레오네티법 개정 논의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2015 .07
인간존엄의 법사상사적 고찰
법학연구
2016 .06
의사조력자살의 허용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법과 정책연구
2018 .01
인간존엄의 비교법적 고찰과 그 시사점
홍익법학
2013 .01
존엄사에 관한 헌법적 검토
원광법학
2010 .01
동학의 시천주 사상과 헌법상의 인간 존엄성
법과정책
2014 .01
미국 연방헌법상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권리의 분석방법 : 실체적 적법절차론과 수정 제9조에 의한 분석론
공법학연구
2009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