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양진 (고려대학교) 오새내 (강남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사전학회 한국사전학 한국사전학 제16호
발행연도
2010.10
수록면
69 - 105 (3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investigated making history of Korean commercial encyclopedic dictionary in 20th century.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explore a methodology for dictionary making. Oral history interviews are a key source for interpreting the methodology because sources of dictionaries have disappeared. Interviews with practical lexicographers who took part in dictionary making reveal how encyclopedic dictionaries compiled. First of all, dictionary makers make effort to increase the size of dictionary. Entries added encyclopedic information. The sources of the information are established encyclopedia and technical texts. They were aimed minimum volume and maximum entries. A few skillful lexicographers’ intuition was most important resources. Commonly,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was organized one or two special lexicographer and a large number of editors and copyeditors. Finally, Dictionaries' orthograph and part of speech were subordinated to Korean government language policy.

목차

1. 서론
2. 민간주도형 백과사전식 국어대사전 편찬 약사(略史)
3. 표제어에서 나타나는 편찬 특징
4. 뜻풀이에서 나타나는 편찬 특징
5. 사전의 활용도와 관련한 특징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2-703-004327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