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초록〉
1. 머리말
2. 當代史에 내재한 긴장
3. 實錄編纂과 閱覽을 둘러싼 갈등
4. 史草 관리 규정의 정비와 史獄
5. 史禍의 극복, 그리고 하나의 경험
6.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논문]조선후기 국사체계(국사체계)의 변동에 관한 시론 - 실록(實錄)에서 일성록(日省錄)으로 -
역사와현실
2004 .06
朝鮮初期 文翰官署의 整備와 史官制度
한국사학보
1999 .09
[왜?] 그런데 왜 실록을 편찬하였을까?
내일을 여는 역사
2003 .12
당대사 실록을 둘러싼 긴장, 규율, 그리고 지평 : 조선시대 당대사 편찬의 경험과 교훈
역사학보
2010 .03
두 실록의 번역서-조선태조실록과 만주실록
인문논총
2014 .01
국가기록관리 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
역사비평
2012 .08
고려 초기 실록 편찬
석당논총
2013 .01
기록 보존소로서의 영상실록 아카이브
역사민속학
2002 .06
조선시대 사고관리의 변화
국학연구
2009 .06
집단 언어와 실어 상태: 중국 문인들의 한국전쟁 참전 일기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2018 .01
古文書에 사용된 종이 연구 - 『度支準折』을 중심으로-
古文書硏究
2004 .01
李王職의『高宗 · 純宗實錄』편찬사업과 그 실상
사학연구
2014 .12
조선 전기 사관과 실록 편찬에 대한 연구 : 현황과 과제
사학연구
2001 .05
역사연구와 기록 : 현대 역사학과 기록학의 지향과 과제
역사학보
2017 .06
한국의 국가기록물관리와 역사연구 -「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2007)을 중심으로 -
대구사학
2008 .01
한국의 국가기록물관리와 역사연구 -「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2007)을 중심으로 -
대구사학
2008 .01
조선시대의 문서와 기록의 위상: 사초, 시정기에 대한 재검토
古文書硏究
200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