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언
Ⅱ. 안보리 권한과 강행규범의 제한
Ⅲ. 이라크 관련 안보리 결의의 검토
Ⅳ. 이라크 관련 안보리 결의와 강행규범으로서의 인민자결권
Ⅴ. 안보리 결의의 강행규범 합치적 해석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제입법"의 가능성과 한계 : UN 안전보장이사회에 의한 "입법적 결의"를 중심으로
서울국제법연구
2011 .06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695호에 대한 법적 고찰
법학연구
2007 .08
국제재판에서의 강행규범의 발전 - 국제인권법 및 국제인도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
원광법학
2010 .01
일괄보상협정과 국제법상 강행규범의 관계
서울국제법연구
2020 .06
독일과 유엔 : 독일의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노력과 전망
유럽연구
2006 .12
UN 안전보장이사회 제재결의의 국내적 이행에 관한 한국의 법체계와 실행
서울국제법연구
2014 .06
국제법상 무력사용금지의 원칙과 그 예외에 관한 고찰 : 대 이라크전에 있어서 미국의 무력사용에 대한 적법성 논의를 중심으로
인도법논총
2006 .09
사업양도에 따른 노사협의회 및 의결사항의 승계
노동법포럼
2019 .07
지방의회 의정활동의 평가 및 강화방안 : 광명시 지방의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001 .12
유엔 대북제재 결의의 의미와 효용성 및 한반도 주변국의 역할
북한연구학회보
2013 .01
‘一般國際法의 强行規範’ 槪念에 관한 硏究
국제법학회논총
1997 .12
이라크 전쟁과 국제법
비교법학연구
2004 .02
UN 안전보장이사회의 팽창이 그들의 권위를 보장하는가?
글로벌교육연구
2019 .01
Legal Approach to War in Iraq
서울국제법연구
2004 .12
국제강행규범과 대세적 효력 원칙 개념의 비교
중앙법학
201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