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전래동화 「바리공주」의 줄거리
Ⅲ. 동화본과 저본의 유사점과 차이점
Ⅳ. 무가 「바리공주」에서 살려야 할 점과 버려야 할 점들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전래동화 다시쓰기: 어린이문학의 새로운 도전
영어영문학21
2006 .01
구비설화의 전래동화로의 재창작 방법
어문연구
2006 .01
動物 모티프를 지닌 傳來童話의 韓ㆍ獨 比較硏究
한국아동문학연구
1997 .08
韓國과 獨逸의 傳來童話에 대한 比較硏究
한국아동문학연구
1997 .08
동화치료의 연구동향 분석 : 2008∼2017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
2019 .01
페로와 안데르센의 동화관
동화와 번역
2009 .01
1930년대 옛날이야기를 기반으로 하는 ‘동화’의 양상 : 매일신보, 조선일보,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0 .12
이원수의 전래동화 연구를 위한 기초 고찰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1 .12
서구 민담에서 동화로, 동화에서 애니메이션으로의 변용과정에 나타나는 정치적 전유 : 그림(Grimm) 동화와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새한영어영문학
2007 .11
동화 문체의 중한 번역
번역학연구
2005 .03
설화 읽기에 대한 반성적 고찰
어문연구
2008 .01
동화를 활용한 공간 구성과 콘텐츠 개발 방향 : 송월동 동화 마을의 공간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6 .12
손진태 역사동화 연구
韓國古典硏究
2019 .01
영어 고전동화와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동ㆍ식물 연구
영어영문학연구
2009 .01
현대판 그림동화의 문학적 의의와 기능에 관한 연구
국어국문학
2010 .08
역사동화 『바리왕자』의 상호 텍스트성과 설화적 요소
어문연구
2011 .01
‘예술’로 나아간 ‘동심’, 그리고 폐쇄된 비극성의 세계-이태준 동화 연구-
동화와 번역
2005 .01
동화 읽기의 놀이적 성격 연구
문학교육학
2004 .01
강소천 동화의 서사 전략 연구- 단편 동화를 중심으로 -
동화와 번역
2006 .01
따찌야나 똘스따야(Т. Толстая)의 『끼시(Кысь)』와 민담과의 연관성 - 민담 · 반민담적 요소, 구술성과 기술성을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201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