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법조 기구들은 패러리걸에 대한 공식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념들은 각각 크고 작은 차이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패러리걸(paralegal)이라는 용어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자격을 갖춘 법률가들의 법률적인 사무를 돕기 위한 사람으로서 법률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자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사실은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국가들에서도 사실이다. 미국에서 패러리걸들은 법률가들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직업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그들은 오로지 법률 서비스만을 제공할 뿐이다. 이와 같은 관할권에서 미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어떤 특정 지방의 법조 직역 또는 사법권의 범위 내에서 패러리걸들은 승인을 받거나 인가를 받아야 하고, 그러한 한도에서 패러리걸이라는 직업은 법률가의 감독에 따라 업무를 처리해야 될 의무를 부담하고 있다. 패러리걸 현상은 모든 관할권에서 법 경제학적인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들은 정확하게 말하면 법률가는 아니며, 그들의 업무 수행 대가는 보다 더 저렴하다. 전문가가 아니어서 패러리걸이 하는 업무에 주요한 제약 사유는 각 지역마다 법률가들에게 특정한 행위들을 제공하는 그 지역의 규범에 따라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관할권들은 그들 자신이 패러리걸의 규제행위들에 대한 일종의 목록을 보유하고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설치 이후 법학교육이 공동화되고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서 학부에 법학과를 설치한 대학들이 패러리걸 교육을 도입함으로써 공동화 현상을 보이고 있는 현실의 문제를 타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본고에서는 크게 3가지 주제를 논의하는데 제II장에서 법률시장 업무영역에 따른 패러리걸 개념의 구분을 살펴보고, 제III장에서는 경제적 측면에서의 패러리걸 시장을 살펴본다. 제IV장에서는 법학교육 공동화 현상의 치유 방안으로서 패러리걸의 준비와 교육을 역설하고자 한다.
The utilization of paralegals improves the efficiency, economy and availability of legal services. As a result, increased emphasis is being placed on the hiring of paralegals in a variety of legal and law-related settings. Although private law firms continue to be the single largest employer of paralegals, good job opportunities also exist in several other markets in both the private and the public sectors. In addition to private law firms, other organizations such as corporate legal departments, insurance companies, estate and trust departments of large banks, hospitals and health care organizations, real estate and title insurance companies, and professional trade associations employ paralegals. Job opportunities in the public sector are available in community legal services programs, consumer organizations, offices of public defenders, prosecutors and attorneys general, city attorneys, a wide array of state and federal government agencies, and the judicial system in U.S. There are many legal tasks for which a bar license is unnecessary but some amount of legal training is preferred. To lower costs, businesses employ paralegals to do such tasks instead of a more expensive lawyer. This allows the lawyer to concentrate on the substantive legal issues of the case which in turn improves the efficiency of legal services. The most common area of practice for paralegals is litigation although paralegal services are utilized in virtually all areas of practice, including corporate, probate, real estate, family law, bankruptcy, and intellectual property. Some common types of paralegal education programs available are: (ⅰ) two-year associate degree programs, (ⅱ) four-year baccalaureate degree programs with a major or minor in paralegal studies, (ⅲ) non-degree certificate programs offered by universities, colleges, businesses, and proprietary schools, and (ⅳ) legal assistant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s an internship as a part of the curriculum. However, there are no specified paralegal program at the college level in Korea. In this article, I researched paralegal study as a sound cure of hollowing out legal education and argued a qualitative promotion of Korean legal market through paralegal training study. I explain the concept of paralegal upon the different jurisdiction and present an advantage of the paralegal services. I suggest the paralegal education will be a requirement of the mature of the Korean legal market. Furthermore, I believe that it will provide a good job opportunity to the undergraduate law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