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느}의 형태소로서의 위치
3. {느}의 의미 기능
4. {느}와 ‘었, 겠, 더‘와의 체계
5. 맺음말
내용주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선어말어미 ‘-지-’의 통합관계
동악어문학
1995 .12
선어말어미의 문법적 지위 정립을 위한 형태ㆍ통사적 고찰 : -{었}, {겠}, {더}를 중심으로
언어학
2000 .06
선어말어미 ‘-오-’의 이형태 고찰
겨레어문학
2013 .01
국어 선어말어미의 배열에 관한 고찰 : 시간관련 선어말어미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1996 .06
강릉방언 선어말어미의 구조 연구
인문학연구
2002 .02
선어말어미의 형태 - 통사론
한국어학
1998 .12
15세기 국어 연결어미에 결합한 [더+시] 통합순서의 변화에 대한 管見
돈암어문학
2016 .06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선어말어미 -시-, -았/었-, -겠-의 중첩 습득 연구
언어과학
2008 .01
한국어 선어말어미 ‘-시-’의 사전 기술
한국사전학
2004 .04
국어 선어말어미의 심리적 실재성 검증
어문학
2009 .06
朝선어강座
중국조선어문
1993 .05
朝선어강座
중국조선어문
1993 .09
朝선어강座
중국조선어문
1993 .03
朝선어강座
중국조선어문
1992 .09
朝선어강座
중국조선어문
1993 .07
15세기 관형화 구성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 연구
겨레어문학
2012 .01
후기중세국어(後期中世國語)의 선어말어미(先語末語尾) '-니-'에 대하여
동악어문학
1989 .12
선어말 형태소 '-지-'의 형태론과 통사론 : 중세국어와 근대국어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07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