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용수 (연세대)
저널정보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아연구 아세아연구 통권 153호
발행연도
2013.9
수록면
231 - 265 (3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esident Roh Moo-Hyun for the peaceful resolution of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Issue had the critical opportunities for the peaceful resolution of the ‘2.13 Agreement’ and ‘10.3 Agreement’ at ‘Six-Party Talks’, and the second South-North Summit in 2007. These opportunities came true only after the long muddling through or deadlock of ‘Six-Party Talks’ had ended. President Roh tried to break the deadlock especially before and after ‘9.19 Agreement’ in 2005. He had the recognition of the agenda and alternatives to break the deadlock and practiced the alternatives for peaceful resolution of the second North Korean Neclear Issue beyond the conflict with U.S. he showed the moral aspects of public value for the peaceful resolution of the issue and made the opportunities by breaking deadlock without the violence.

목차

I. 들어가는 말
Ⅱ. 기존의 노무현대통령 리더십 연구와 변혁적 리더십 개념
Ⅲ. 제1차 북핵실험 직후 관료정치론 검토
Ⅳ. 제1차 북핵실험 직후 대외요인 결정론의 한계
Ⅴ. 노무현대통령 인식의 일관성과 상황돌파 경향
Ⅵ. 노무현대통령의 신념과 기획
Ⅶ. 참여정부의 NSC와 노무현대통령의 거래와 타협
Ⅷ. 나오는 말: 요약 및 정리
참고문헌

참고문헌 (6)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900-002821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