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성제 (중앙대학교) 이제욱 (중앙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3권 제5호 (인문사회과학 편)
발행연도
2014.10
수록면
933 - 946 (14page)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Social Network Analysis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during 1980’s and has been used in many studies as the tool to identify the properties of the human networks. Since then, many researcher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djusted and upgraded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which is gaining more and more attention as the advance of Bid Data concept and the need for an advanced technolog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ata of large volume and high variety. As such, the ever-evolving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ology has been adopted by the academic field and utiliz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while the discipline of sports still repeats the previous methodology. There have been several study attempts, where knowledge maps are established and the game analysis, such as the path connection networks, was used. However, it is still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sports researchers by more widely introducing such analytical methods and apply/develop analytical techniqu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rts scienc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진화 : 사회연결망에서 `빅데이터(Big Data)`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까지
Ⅲ. 스포츠 분야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 활용전략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5-690-002655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