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가죽소재와 무채색을 적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소비자 감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측정 도구는 자극물과 소비자 반응 척도로 구성되었다. 자극물은 패션가죽소재(무지, 소, 악어, 뱀, 타조)와 무채색(하양, 회색, 검정)으로 이루어진 15개의 그림으로 조작되었다. 자료는 서울,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창원 등지에 거주하는 20-30대 남녀 15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4년 5월~6월 사이에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에 의해 요인분석, 변량분석, Duncan-test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휴대폰 케이스의 패션가죽소재와 무채색에 따른 소비자 감성 요인은 고급 매력성, 무난성, 쾌적성, 주목성, 기능성, 선호성의 6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주효과를 보면 성별은 고급 매력성, 무난성, 주목성, 기능성, 선호성에서, 패션가죽소재는 무난성, 주목성에서, 무채색은 무난성, 쾌적성, 주목성, 기능성, 선호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상호작용효과를 보면 성별과 무채색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쾌적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성별과 무채색은 독립적으로 두드러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패션 상품 기획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umer sensibility analysis of cell phone cases using fashion leather and achromatic colors.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a set of stimuli and consumer response scales. The stimuli were 15 pictures, in which fashion leather(plain, cow, crocodile, snake, ostrich) and achromatic colors(white, gray, black) were manipulated.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50 male and female in their 20s to 30s living in Seoul, Daejeon, Gwangju, Daegu, Busan, and Changwon.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at May 2014 to June 2014.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Analysis methods were factor analysis, ANOVA, and Duncan-tes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 factors of consumer sensibility according to fashion leather and achromatic colors consisted of six dimensions of luxury-attractiveness, being easy, pleasantness, attention, functionality, and preference. Gender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luxury-attractiveness, being easy, attention, functionality, and preference. Fashion leather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being easy and attention. Achromatic colors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being easy, pleasantness, attention, functionality, and preference. Interaction effects of gender and achromatic colors on pleasantness were found. Especially, gender and achromatic colors showed a noticeable effect independently. The study results are highly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sources in a fashion product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