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머리말
2. 『隋書』 , 『舊唐書』 , 『新唐書』 등에서의 靺鞨
3. 『三國史記』 에서의 靺鞨
4. 日本 史料에서의 靺鞨
5.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구려 멸망과 요동지역 말갈인의 향배
대구사학
2018 .01
人名으로 본 말갈·여진의 관계와 변화
한국고대사연구
2025 .03
말갈문화의 기원과 특성에 관한 연구
仙道文化
2024 .02
대외관계기사를 통해 본 당대 발해 인식 검토
전북사학
2018 .01
6세기 중 · 후반 요서말갈(遼西靺鞨)과 돌궐 · 고구려
동북아역사논총
2018 .09
한국고대 교류와 갈등의 공간 -고구려발해와 강원도
江原史學
2015 .01
러시아지역의 발해-말갈문화권 발굴조사 현황과 과제
고구려발해연구
2022 .11
고고학적 관점에서 본 발해 건국 집단의 분화 · 재편과정 검토
인문과학연구
2018 .03
말갈자료를 중심으로 본 서기 5~6세기 한반도 중부지역과 연해주
고고학
2022 .08
중국학계의 발해 고분 연구 현황과 쟁점
고구려발해연구
2018 .03
黑水靺鞨의 등장과 新羅의 東海岸 防禦
인문학연구
2022 .05
최근(2010~2022) 중국학계의 발해사 연구 동향 및 쟁점
고구려발해연구
2022 .11
화장묘 조영과 정치세력 변화의 상관성 연구 - 7~10C 발해 고분 사례를 중심으로-
고구려발해연구
2019 .11
高句麗 遺民 〈李他仁墓誌銘〉의 재판독 및 주요 쟁점 검토
한국고대사연구
2017 .03
발해 주거건축지의 구조를 통해 본 위계와 사용주체 -취난시설이 확인된 유구를 중심으로-
고구려발해연구
2024 .07
渤海古墳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基礎的 檢討와 意味
한국상고사학보
2018 .01
삼국 항쟁기 강원지역 재지세력의 동향
신라사학보
2019 .08
발해 강역 연구의 현황과 전망
백산학보
2018 .01
온달산성 내 수혈주거지 조성시기와 역사적 배경
신라사학보
2019 .12
0